
우리대학 철도 아카데미는 서울 시내에서 국토교통부 지정을 받은 유일한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교육기관이다. 철도 아카데미는 국내 철도산업의 첨단화, 선진화에 맞춰 국제 경쟁력을 갖춘 최고급의 철도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는 우수한 철도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철도 아카데미 황규태 책임 교수를 만나 아카데미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Q. 교수님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안녕하십니까, 철도 아카데미 책임교수 황규태입니다. 저는 1975년도에 한국철도청 공무원으로 업계에 발을 들여 기관사의 교육 훈련 등을 약 21년간 도맡아왔습니다. 이후 1996년도에 서울교통공사로 전직했습니다. 그리고 2017년 12월 말에 서울교통공사 정년퇴직 후, 내가 제일 잘할 수 있고 좋아하는 일이 무엇일까 고민하다 결정한 것이 기관사를 양성하는 직업이었습니다. 그래서 정년퇴직 이후 지금까지 우리대학 철도 아카데미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Q. 철도 아카데미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철도 아카데미는 2017년 7월 19일(수)에 국토교통부 고시 2017-1호로 제2종 전기차량 교육 훈련 기관으로 지정됐습니다. 현재 철도 아카데미는 조직도상으로 5년째 우리대학 사회교육개발원에 소속돼 있습니다. ▲아카데미 원장 ▲전임 교수 3명 ▲비전임 교수 5명 ▲행정실 직원 2명 이렇게 구성돼있으며, 한 기수당 30명, 총 20기 600명의 수료생을 배출한 상태입니다. 현재 21기는 하이테크관에서 기능 교육을 받는 중이고, 22기는 창학관에서 이론 교육을 받는 중입니다. 다 같이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면 정말 좋겠지만, 여건이 맞지 않아 하이테크관과 창학관 두 그룹으로 따로 이론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Q. 우리대학 철도 아카데미의 특별한 강점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A. 작지만 강렬한 강점을 가진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지리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갖췄습니다. 철도 운영 기관에 취업하려는 취업 준비생들은 수도권에 가장 많이 몰립니다. 또한 지금 우리대학 철도 아카데미가 보유하고 있는 장비는 첨단화 및 선진화돼있는 장비입니다. 동시에 전국에 몇 개 없는 한국교통 면허 시험용 장비와 똑같은 장비를 사용 중입니다.
그리고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처럼 규모가 큰 회사에서의 수년간 근무 경력을 쌓은, 이론과 실무가 풍부한 교육진이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대학 아카데미는 5년의 짧은 역사 동안 필기시험이나 기능 시험 1차에 전원 합격했던 대단한 기록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학교 측에서 적극적으로 아카데미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점도 큰 강점인 것 같습니다.
Q. 철도 아카데미의 교육 목표는 무엇이며 과정은 어떠한가요? 교육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A. 제2종 전기 차량 운전면허 취득에 관심이 있는 우리대학 재학생,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2종 면허 취득이 필요한 일반 시민들에게 문호를 개방하는 것이 저희의 역할입니다. 이론 교육과 기능 교육을 통해 철도안전법에서 지정한 2종 면허를 취득할 기회를 그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철도 아카데미의 교육 목표입니다.
이 면허를 취득하지 않으면 기관사 시험 응시가 안 됩니다. 아카데미에서 교육받아야만 면허 시험을 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면허 시험을 쳐서 합격했을 때 자신이 원하는 철도 기관에 입사할 수 있습니다.
교육 과정은 이론 과정과 기능 과정이 있는데 현재 우리 아카데미의 경우 종합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론 교육 과정은 법제화돼 있습니다. 면허 시험 관련된 과목은 270시간을 이수해야 하며, 기능 교육 시간은 410시간 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수해야만 면허 시험을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생깁니다.
Q. 입교 등록금은 얼마정도인가요?
A. 이 부분은 국토부에 고시가 돼있습니다. 1시간당 이론 교육은 정확히 2,334원, 기능 교육은 10,280원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해당 고시 금액을 적용하면 우리대학 철도 아카데미의 경우 485만원인데 일반적인 언론에서는 약 500만원으로 보도되고 있습니다.
Q. 철도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과정에서 어떠한 장비를 사용하나요? 또 사용되는 장비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A. 장비는 ▲FTS(전기능 모의 운전연습실) 1대 ▲PTS(기본기능 모의 운전 연습실) 5대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70대가 구비돼 있습니다. 이 장비를 기준으로 한 기수당 30명으로 교육을 할 수 있습니다. FTS는 교육생의 기본 운행 및 평가 목적의 훈련용 시뮬레이터로써, 실제 차량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돼 있습니다. PTS실 훈련 상황은 모두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자료로 확보되며 확보된 자료는 평가 자료로 활용됩니다.
특히 PTS실은 교육생들이 개인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시켜놨으며 FTS 기능과 거의 유사합니다. 또한 조수가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고 교육생이 자율적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하며 얼마든지 실습처럼 연습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CAI 컴퓨터 지원 관리 시스템은 1인당 한 대씩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율적인 공부를 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교수가 미리 교육 자료를 입력해놓으면 관련 교육은 교육생 스스로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Q. 철도 아카데미에 입학하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나요?
A. 입학 방법은 철도안전법에 명시돼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정한 병원과 코레일 인재개발원 센터에서 신체검사와 운전적성 검사를 받고 모두 합격해야만 입교가 가능합니다. 우리대학 같은 경우는 다른 학교와 다르게 입교 시험을 추가로 치르고 있습니다. 입교 시험은 2개 과목으로 철도 관련법, 운전 이론 안전법이 있습니다. 철도 관련법의 경우 ▲시행령 ▲시행규칙 ▲각종 지침 ▲운전 이론이 있으며, 운전 이론 안전법에는 기관사 업무 수행에 필요한 ▲운전 ▲역학 ▲물리 관련 문제가 출제됩니다. 시험 경쟁률은 평균적으로 10:1 정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Q. 기준 미달로 인한 보충 교육과 재교육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A. 기준 미달에는 성적 미달과 교육 시간 미달 두 가지가 있습니다. 성적이 미달한 사람들은 어떠한 경우든 재교육 혹은 보충 교육을 하고 재시험을 치게 합니다. 이 과정은 수료 기준을 충족할 때까지 진행됩니다. 교육 시간의 경우 국토부에서 법적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면허 시험 관련된 과목 270시간, 기능 교육 과목 410시간을 이수하지 않으면 수료 기준에 부적합합니다. 만약 이수하지 않으면 면허 시험에 응시할 수 없습니다.
Q. 철도 아카데미 학생들은 어디로 진출하나요? 대부분 기관사의 길을 걷기 위해 입교한 학생들일 텐데, 기관사 외 다른 절차를 밟는 예도 있나요?
A. 대부분이 기관사가 됩니다. 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5년 동안 약 2,356명이 기관사로 임용됐다고 합니다. 개인 정보 보호 때문에 정확히 확인할 순 없지만 아마 저희 아카데미를 수료한 학생들도 대거 포함돼있을 것입니다.
최근 중전철, 경전철 관련 기관의 경우 기관사 면허가 없으면 아예 입사를 못 할 정도로 면허 취득이 중요해졌습니다. 관련 근무지에서 일하는 역무직과 기관사 측이 거의 동일 업무를 하기 때문입니다. 코레일 등의 기관에서는 제2종 전기 차량 운전면허를 취득하면 가산점을 줍니다. 따라서 면허를 취득하는 경우 기관사가 아닌 다른 철도 관련 직종에 취업하기에도 유리합니다. 가산점과 채용 조건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해 실제 기관사 업무는 하지 않지만 다른 업무를 하기 위해 면허를 취득하는 사람들도 늘었습니다.
Q. 기관사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기관사는 4차 산업혁명, 그린 뉴딜 시대를 선도하는 주역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세상을 바꾸는 게 철도라고 생각합니다. 철도는 세상을 이끄는 주역이자 시민의 발입니다. 기관사는 그런 철도의 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책임과 의무는 말할 것도 없이 강해야 하며, 긍지와 자부심 또한 크게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1일 1천만 명이 넘는 수송을 담당하며 기관사 개인마다 몇천 명의 시민들 안전을 책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관사가 모든 것을 판단하고 조치할 때 고객님들 교통수단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기관사가 가진 이런 특징들 때문에 정말 대단하고 멋진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Q. 마지막으로 교수님께서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부탁드립니다.
A. 글로벌 시대에서 철도 사업은 더욱더 커지고 확장될 것입니다. 이러한 시대에 발맞춰 철도 산업과 아카데미에 대한 학생 여러분들이 적극적인 관심을 보여주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