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2호 최종편집 : 2023.3.27 월 00:00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전체메뉴
HOME
|
창작상
|
대표 홈페이지
예술상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영문PDF
l
호별기사
l
LOGIN
예술상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인터뷰
전체
기사 상세목록
(전체 41건)
경영정보시스템의 더 나은 미래를 고민하다
서지혜 경영학과 교수가 2022년 12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제32회 Workshop on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ystems(WITS 2022)에서 Prabuddha De Best Paper Award를 수상했다. WITS 학회는 경영정보분야의 세계 최고 학회 중의 하나이며, 최우수 논문상은 학회 위원회가...
오경은, 김시현 / 2023-03-27 / 672호 / 조회수:18
도넛으로 세상을 밝히다.
김재용 도예학과 교수는 전세계의 미술계에서 도넛 작가로 유명하며, 현재 한국에서도 작품의 인기와 인지도가 굉장히 높은 현대미술 작가다. 22년 12월, 김재용 교수는 대표 작품 2점(총 1억 7천 9백만원)을 우리대학에 기증했다. 본지는 어떤 작품이 어떻게 기증됐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김재용 교수를 직접 만나 얘기를 들...
서나연, 최윤지 / 2023-03-13 / 671호 / 조회수:62
정이환 •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 인터뷰
정년퇴직을 앞두고 우리대학 구성원들에게 정이환 •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 Q. 교수님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교양대학 인문사회교양학부에서 정년퇴임하는 정이환입니다. 제 전공은 사회학이며 주된 연구 분야는 노동시장과 불평등입니다. 그간 ▲사회의 이해 ▲오늘의 한국사회 ▲진보와 보수 ▲현대 메가트렌드 ▲...
류제형 / 2023-01-09 / 669호 / 조회수:114
정건용 •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인터뷰
정년퇴직을 앞두고 우리대학 구성원들에게 정건용 •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Q. 교수님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화공생명공학과 정건용 교수입니다. 1996년 3월에 우리대학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로 왔으며 2003년도에 당시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에서 교학부장을 했고 2005년 5월부터 2006년까지 서울산업...
박세정 / 2023-01-09 / 669호 / 조회수:119
오상근 • 건축공학과 교수 인터뷰
정년퇴직을 앞두고 우리대학 구성원들에게 오상근 • 건축공학과 교수 Q. 교수님에 대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A. 학교에 온 지 28년이 지났습니다. 와서 다른 교수들이 안하는 걸 해보자 해서 건축공학 분야에서 콘크리트 공학, 강재공학(강구조)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결함은 있을 수 있지만, ...
최종호 / 2023-01-09 / 669호 / 조회수:115
행정 전문가로의 첫 도약
행정 전문가로의 첫 도약 공무원은 많은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직장이라고 생각해 지원하고 싶어하며 지원율이 몰리는 만큼 경쟁률이 큰 직군 중 하나다. 2022년 올해 5급 행정직에는 7,495명이 응시해 236명이 최종 합격했고, 이재유 씨(이하 이 씨)는 2차 시험 평균 합격선(54.66점)을 웃도는 점수인 58.8...
오경은, 이가연 / 2022-11-07 / 666호 / 조회수:298
9월 5일(월) 수강신청 서버 오류 사건의 전말
9월 5일(월) 수강신청 서버 오류 사건의 전말 수강신청 서버 오류로 인해 많은 학우들이 피해를 입은 사건이 있다. 본지는 9월 5일(월)에 발생한 수강신청 서버 오류 사건에 대해 직접 금창희 정보전산원 주무관과 두 차례에 걸쳐 인터뷰를 진행했다. Q. 수강신청 정정기간 당일 10시 경에 서버 오류(48학점 초과 문구 발생)...
오경은 / 2022-10-17 / 665호 / 조회수:648
총학생회 어플리케이션의 첫 등장
총학생회 어플리케이션의 첫 등장 총학생회에서 자체 제작한 애플리케이션은 9월 21일(수)부터 9월 23일(금)까지의 어의대동제 기간 동안 첫 등장해 축제를 원활하게 진행하는 데 있어서 큰 역할을 했다. 본지는 총학생회 어플리케이션 담당자 오승언 IT부장을 만나 제작 계기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인터뷰하는 시간을 가졌다. &n...
노승환 / 2022-10-17 / 665호 / 조회수:338
노인수 교수, 화학 산업계의 난제를 풀다
▲텅스텐을 이용한 불균일 촉매가 반응하는 과정 알데하이드는 ▲환원제 ▲향료 ▲마취제 합성에 쓰이는 화학 산업의 핵심 원료지만, 알데하이드를 합성하는 ‘알킨 하이드로포밀레이션(alkene hydroformylation)’ 공정은 경제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최근 노인수 화공생명공학과 교수(이하 노 교수)가 ...
김시현, 심재민 / 2022-10-17 / 665호 / 조회수:218
영광을 거머쥔 야구부, 히어로즈
영광을 거머쥔 야구부, 히어로즈 1996년에 창단된 유일의 중앙 야구동아리 히어로즈는 2018년 AUBL 우승, 2021년 전국동아리 야구선수권 대회 준우승 등 수상경력을 입증하며 매년 서울권 대학 동아리 야구부 사이에서 이름을 알리고 있다. 수평적인 문화와 다양한 경기 경험을 쌓기 위해 글러브와 배트를 가지고 주기적으로 ...
윤태훈, 이지윤 / 2022-09-26 / 664호 / 조회수:143
철도의 꽃, 기관사를 양성하는 철도 아카데미
우리대학 철도 아카데미는 서울 시내에서 국토교통부 지정을 받은 유일한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교육기관이다. 철도 아카데미는 국내 철도산업의 첨단화, 선진화에 맞춰 국제 경쟁력을 갖춘 최고급의 철도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는 우수한 철도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철도 아카데미 황규태 책임 교수를 만나 아카데미에 대한 자...
김태연, 김도현 / 2022-09-13 / 663호 / 조회수:164
한국에서 바라본 미얀마의 비극
미얀마는 독립 이후 아웅 산의 미얀마 반파시스트 항일정치 단체(AFPFL)이 당선됐으나 아웅 산과 내각 장관 7명이 암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 이후 1962년 버마 군사 반란이 일어나며 민주주의가 확립되지 않았다. 이후 민주화를 위한 노력에도 군부의 독재가 이어져 오다 2015년 자유 선거에서 아웅 산 수치의 국민민주연맹(NLD)가 승리하여 정권이 교체됐다...
이가연 / 2022-09-08 / 662호 / 조회수:178
동문 커뮤니티의 구심점 역할로 나서다
동문 커뮤니티의 구심점 역할로 나서다 우리대학 총동문회는 동문 상호간의 친목과 우의를 도모하고, 동문의 사회활동을 지원한다는 목적하에 모교 발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학술 연구를 위한 지원 사업 및 각종 장학 사업을 기획하며 동문 후배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동문 네트워크의 중심에...
윤태훈 / 2022-05-25 / 660호 / 조회수:450
우리나라 복지의 새로운 길을 고민하다
우리나라 복지의 새로운 길을 고민하다 우리대학 안에서는 정치외교학 전공 교수로, 우리대학 밖에서는 국제노동기구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을 거치며 복지국가를 연구한 전문가로서 우리나라 복지에 대해 연구해온 이가 있다. 2021 세종도서에 『한국 복지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졌나』가 선정됐다. 책의 저자이자 우리나라 복지 정책 연구에...
오경은 / 2022-05-09 / 659호 / 조회수:325
우리대학 총장에서 행정 전문가로
우리대학 총장에서 행정 전문가로 어느 분야든 한 분야에서 평생을 몸담는다는 것은 어렵지만 뿌듯한 일이다. 우리대학 안에서는 행정학 연구를 선도하는 교수로, 우리대학 밖에서는 행정학을 현실에 적용하는 실천가로 활동하며 열정과 헌신으로 가득 찬 삶을 살아온 이가 있다. 우리대학이 산업대학에서 일반대학으로 전환된 역사적인 시...
양재혁 / 2022-04-25 / 658호 / 조회수:364
기사 간단목록
(전체 41건)
[오경은, 김시현] 2023-03-27
경영정보시스템의 더 나은 미래를 고민하다
[서나연, 최윤지] 2023-03-13
도넛으로 세상을 밝히다.
[류제형] 2023-01-09
정이환 • 인문사회교양학부 교수 인터뷰
[박세정] 2023-01-09
정건용 •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인터뷰
[최종호] 2023-01-09
오상근 • 건축공학과 교수 인터뷰
[오경은, 이가연 ] 2022-11-07
행정 전문가로의 첫 도약
[오경은] 2022-10-17
9월 5일(월) 수강신청 서버 오류 사건의 전말
[노승환] 2022-10-17
총학생회 어플리케이션의 첫 등장
[김시현, 심재민] 2022-10-17
노인수 교수, 화학 산업계의 난제를 풀다
[윤태훈, 이지윤 ] 2022-09-26
영광을 거머쥔 야구부, 히어로즈
[김태연, 김도현 ] 2022-09-13
철도의 꽃, 기관사를 양성하는 철도 아카데미
[이가연] 2022-09-08
한국에서 바라본 미얀마의 비극
[윤태훈] 2022-05-25
동문 커뮤니티의 구심점 역할로 나서다
[오경은] 2022-05-09
우리나라 복지의 새로운 길을 고민하다
[양재혁] 2022-04-25
우리대학 총장에서 행정 전문가로
1
2
3
주요인기뉴스
국제대학 신설, 세계를 겨냥하는 우리대학
3번에 걸친 만평 수정이 말하는 바는 무엇인가
경영정보시스템의 더 나은 미래를 고민하다
미래를 위한 선택, 복수전공과 부전공
축구에 월드컵이 있다면 야구는 WBC!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
2023 대학 회계 총괄표
2023학년도 공군 학군사관후보생 53/54기 모집
창업보육센터 신규 입주기업 모집
붕어빵at붕어방
672호 곽무위키
672호 곽민정음
672호 네컷만화
672호 독자퀴즈
2023년 "상상톡톡" Seoultech 제안제도
신문사 소개
l
창작상
l
방송국 홈페이지
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l
개인정보처리방침
l
이메일무단수집거부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이동훈 I 편집장: 류제형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