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2호 최종편집 : 2023.3.27 월 00:00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전체메뉴
HOME
|
창작상
|
대표 홈페이지
예술상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영문PDF
l
호별기사
l
LOGIN
예술상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시사
전체
시사
최윤지 기자 | 2023.03.27 | 672호
6
0
서울과기대 주요뉴스
봄의 불청객, 미세먼지
▲미세먼지로 뿌연 하늘(사진 : Unsplash) 겨울 추위가 물러가고 반가운 봄이 찾아왔다. 하지만 봄이 오면 불청객도 따라온다. 바로 미세먼지다. 올해 1월 1일부터 3월 20일까지 전국의 각 지역에 내려진 초미세먼지 주의보와 경보 횟수는 153회로 작년의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고농도 초미세먼지는 국내발생과 해외유입 미세먼지가 함께 쌓이며 지난해보다 심각해졌으며 한반도 주변에 형성된 고기압으로 인해 서해안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고 있다. 미세먼지란? ‘미세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물질인 먼지 중 흡입성먼지를 말한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는 직경에 따라 구분하는데 미세먼지는 10㎛보다 작은 먼지이며, 초미세먼지는 2.5㎛보다 작은 먼지로 머리카락 직경보다 입자가 작다. 즉, 미세먼지는 아주 작은 크기의 모든 오염 물질을 말하며, 그 중 중국이나 몽골의 사막 지역에서 발생한 흙먼지를 황사라고 한다. 미세먼지의 농도는 대기오염 측정소에서 전국적인 ▲대기오염 실태 ▲변화 추이 ▲대기환경 기준 달성 여부 등을 파악해 측정된다. 2014년부터 환경부가 실시하는 미세먼지 예보의 등급은 2018년 선진국과 같아지면서 미세먼지의 예보 기준과 주의보 및 경보 기준이 강화됐다. 미세먼지 예보는 농도에 따라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등급으로 나뉘며 하루 4차례 발표된다. 대기오염도는 에어코리아, 케이웨터, 스마트폰 ‘우리 동네 대기질’ 앱 등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미세먼지, 왜 발생하는가? 미세먼지는 크게 자연적,인위적 발생으로 구분된다. 흙이나 소금 그리고 식물의 꽃가루가 날리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지만,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미세먼지다.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연이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성분 중 하나다. 미세먼지는 ▲자동차의 배기가스와 건설 현장 공장 가동 시 나오는 환경 가스 ▲부자재 취급 공정의 가루 ▲소각장의 연기 등 다양한 활동으로 인해 생겨나고 있으며, 해당 가스 물질이 다른 물질과 결합해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2차 발생까지 나타난다. 화석연료가 태워지면서 배출되는 황산화물들이 공기 중의 수증기나 암모니아와 결합하거나 다른 오존 등과 결합하는 것이 심각한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며 건강을 해치고 있다. 이외에도 가정에서 오븐이나 가스레인지 등을 사용하면서 만들어지는 미세먼지도 있다. 그렇다면 봄철에 유독 미세먼지가 심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봄은 주로 날씨가 맑고 습도가 낮다. 따라서 태양이 비추면 지표면이 빠르게 데워진다. 이로 인해 대기의 상승 기류를 유발해 오염 물질들이 빠르게 상승하며, 미세먼지의 농도가 빠르게 증가한다. 낮은 습도는 대기 중의 오염 물질이 증발하기 쉬운 환경을 만들어 미세먼지의 농도를 높인다. 또 봄철에는 대기 중의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쉬운 환경이기 때문에 미세먼지와 기타 오염 물질들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보다 유해한 물질로 변할 가능성이 커진다. 또한 봄에는 풍속이 강하다. 미세먼지가 발생한 지역에서 강한 바람이 먼지를 일으켜 날리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다. 특히 중국과 같은 대륙 지역에서는 바람이 강하게 불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한반도와 일본 등 인근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미세먼지의 위험성 미세먼지는 코점막에서 걸러지지 않는다. 호흡기를 통해 폐까지 침투해 각종 호흡 질환의 원인이 된다. 우리 몸에 미세먼지가 유입되면 이를 제거하기 위해 면역세포가 작용하는데, 이로 인해 각종 염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 각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유발하고 기관지염, 천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초미세먼지의 경우, 미세먼지보다 더 넓은 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보다 많은 유해 물질들이 흡착될 수 있고, 크기가 작아 혈관으로 침투해 다른 인체 기관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높아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보다 건강에 해롭다. 미세먼지,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첫째, 외출 시 마스크 착용을 필수화한다. 식약처가 허가한 보건용 마스크 중 KF 수치가 표시된 것을 고른다. KF 뒤에 붙는 숫자가 높을수록 입자 차단 성능이 높은데, KF80은 평균 0.6㎛ 크기의 미세먼지 입자를 80% 이상, KF94와 KF99는 평균 0.4㎛ 크기의 입자를 각각 94%, 99% 이상 걸러낸다. 단, 일회용 마스크는 한 번 사용하면 필터 기능도 떨어지므로 재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둘째, 환기와 공기 청정기 사용으로 공기를 순환시킨다. 아직 쌀쌀한 날씨로 창문을 닫고 지내는 시간이 긴데, 이러한 경우 집 안에 가족의 건강을 위협하는 각종 독성물질이 쌓일 수 있다. 만약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이상이면 공기 청정기나 에어워셔로 실내공기를 순환시킨다. 연일 미세먼지가 심해 창문을 오랫동안 닫고 지냈다면 미세먼지 수치가 낮은 시간대를 골라 짧게라도 환기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셋째,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공기정화 식물을 키운다. 공기 청정기 사용과 함께 공기정화 식물까지 두면 공기 질 관리에 도움이 된다. 실제로 공기정화 식물은 미세먼지를 30% 정도 흡착하는 효과를 지녔다. NASA가 밀폐된 공간에서 식물의 공기정화 효과를 15년 이상 연구한 결과 아레카야자, 관음죽, 고무나무, 아이비, 산세비에리아가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아레카야자는 ‘천연 가습기’라 불릴 정도로 가습 효과가 뛰어나며 실내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로 꼽힌다. 공기 중 수분과 먼지를 흡수하는 틸란드시아는 독성물질인 폼알데하이드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물을 자주 마시고 청결한 위생 습관을 기른다. 우리 몸의 80%를 차지하는 물은 혈액순환, 체온조절 등 여러 역할을 담당한다.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 물을 많이 마시면 미세먼지 배출에 도움이 된다. 몸에 유입된 미세먼지나 유해 물질을 희석하고 땀과 소변으로 내보내기 때문이다. 미세먼지는 호흡기뿐만 아니라 얼굴과 손, 머리카락, 옷 등에도 달라붙을 수 있다. 따라서 먼지가 묻은 손으로 눈을 비비거나 코를 만지면 결막염에 걸리거나 비염이 심해질 수 있어 평소 손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외출 후 집에 돌아오면 입은 옷은 세탁하고 자주 빨기 힘든 외투는 창가나 베란다에서 먼지를 털어낸다. 일상생활에서 미세먼지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최대한 줄여 간다면 봄에 미세먼지 예보가 아니라 맑은 하늘 예보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최윤지 기자
More
박세정 기자 I 2023.03.27
15
0
축구에 월드컵이 있다면 야구는 WBC!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
박세정 기자 /
view: 15 /
2023.03.27
More
오경은 기자 I 2023.03.27
7
0
팝업스토어, 현명한 소비의 기회로
오경은 기자 /
view: 7 /
2023.03.27
More
기사 상세목록
(전체 65건)
축구에 월드컵이 있다면 야구는 WBC!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
지난 3월 8일(수) WBC가 개막했다. WBC는 미국 메이저리그 베이스볼(이하 MLB) 사무국과 선수협회가 주관하는 국가 간 국제 야구 대회로, World Baseball Classic의 약자이다. 원래 국제야구연맹(이하 IBAF)가 주관하는 야구 월드컵(Baseball World Cup)이란 대회가 있었다. 하지만 2011년을 마지막으...
박세정 / 2023-03-27 / 672호 / 조회수:15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해결은 누구 몫?
지난 202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17.5%로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2017년 12.3%였던 고령운전자 사고 비율은 2021년 15.6%로 집계됐다. 이렇듯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가 급증하고 있고,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는 더이상 좌시할 수 없는 일이 됐다. 고령...
김시현 / 2023-03-27 / 672호 / 조회수:11
마약 범죄에 적신호 켜진 대한민국
마약과의 전쟁 지난 3월 6일(월), 중학생 A양(14)이 필로폰 투약 혐의로 경찰에 입건됐다. 경찰에 따르면 A양은 인터넷 메신저 ‘텔레그램’에서 가상화폐를 통해 필로폰 0.05g을 구매했다. 필로폰을 구매하는 데 든 돈은 단돈 40만원이었다. 불과 14살밖에 안 된 미성년자가 강력한 마약을 투여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장수연 / 2023-03-27 / 672호 / 조회수:13
팝업스토어, 현명한 소비의 기회로
▲다나카 팝업스토어 ‘다나카 프렌즈’ 요즘 들어 우리나라에서 자신의 새로운 캐릭터를 만드는 ‘부캐’ 열풍이 불면서 다양한 유튜버들이 성장했다. 그중 최근 인기가 많아진 개그맨 김경욱의 부캐 ‘다나카’가 더 현대 서울에 팝업 스토어를 개장했다. 다나카의 팝업스토어(이하 다나카...
오경은 / 2023-03-27 / 672호 / 조회수:7
봄의 불청객, 미세먼지
▲미세먼지로 뿌연 하늘(사진 : Unsplash) 겨울 추위가 물러가고 반가운 봄이 찾아왔다. 하지만 봄이 오면 불청객도 따라온다. 바로 미세먼지다. 올해 1월 1일부터 3월 20일까지 전국의 각 지역에 내려진 초미세먼지 주의보와 경보 횟수는 153회로 작년의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늘어났다. 고농도 초미세먼지는 국내발생과 해외유입 미세...
최윤지 / 2023-03-27 / 672호 / 조회수:6
대한민국에서 기름이 뿜어져 나온다면
대한민국에서 기름이 뿜어져 나온다면 기름 한 방울 나오지 않는 나라 대한민국에서 엄청난 양의 자원이 매장된 유전이 발견됐다는 뉴스를 보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국가의 경제 시스템은 뒤바뀔 것이고 기업들은 모두 달려들어 투자를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국민은 자신들의 살림살이가 나아질 것 같은 왠지 모를 기대감에 휩싸여 다들 신이 날...
최종호 / 2023-03-13 / 671호 / 조회수:25
지하철 운행 적자와 노인 무임승차… 해결 방안은?
지하철 운행 적자와 노인 무임승차… 해결 방안은? 뜨거운 감자, 노인 무임승차 지난 몇 년간 사회적 논란을 증폭시켜온 65세 이상 노인의 지하철 무임승차(이하 노인 무임승차)는 최근 오세훈 시장이 서울 지하철 적자의 원인으로 지목하면서 뜨거운 화두로 올랐다. 지난 1월 30일(월)에 있었던 신년 기자 간담회에서 오세훈 서울 시...
박세정 / 2023-03-13 / 671호 / 조회수:36
원하는 DNA 싹둑, 세상을 바꿀 ‘유전자 가위’
원하는 DNA 싹둑, 세상을 바꿀 ‘유전자 가위’ 유전자 가위란 무엇일까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사용자가 원하는 DNA 염기서열을 골라서 잘라내는 기술이다. 이는 정확도가 99%에 달하는 기술로, 자르고 싶은 염기서열과 결합하는 RNA를 빠르고 저렴하게 합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체가 자신...
최윤지 / 2023-03-13 / 671호 / 조회수:28
현실로 다가온 문제, 인구 절벽
한국은 2020년 OECD뿐만 아니라 세계 252국 중 합계출산율이 최초로 0.8명대에 진입했는데, 불과 2년여만에 0.7명대라는 불명예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최근 ‘2022년 인구 동향’ 조사를 통한 출산율 결과가 무려 0.78명이라는 기록적인 수치로 매년 최저 신기록을 달성하며 인구 절벽의 문제가 지금 당장 우리에게 ...
김도현 / 2023-03-13 / 671호 / 조회수:33
챗GPT의 침공 혹은 등장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최근 대화형 AI 기술인 챗 GPT가 주목을 받고 있다. 챗 GPT는 OpenAI에서 개발한 인공신경망 모델로, 인간처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술을 지니고 있어 인공지능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챗 GPT가 인공지능 시장에서 큰 파장을 일으키며 기업들이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는 가운...
오경은 / 2023-03-13 / 671호 / 조회수:43
끝났지만 끝나지 않은 화물연대 파업
끝났지만 끝나지 않은 화물연대 파업 화물연대 파업 개시 지난 11월 24일(목)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 영구화와 품목 확대를 요구하며 파업을 시작했다. 안전운임제는 화물 노동자들의 적정 임금 보장을 통해 ▲과로 ▲과적 ▲과속을 막아 도로 위 안전을 확보하는 제도이다. 지난 3년간 시멘트와 컨테이너 화물 운송 노동자들에 ...
박세정 / 2023-01-09 / 669호 / 조회수:147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vs ‘과로 사회’로의 개악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vs ‘과로 사회’로의 개악 미래노동시장연구회 권고문 발표 지난 12월 12일(월) ‘미래노동시장연구회(이하 미래연)’에서 권고문을 통해 윤석열 정부의 노동개혁 청사진을 공개했다. 미래연은 정부에서 학계 인사 12명에게 위탁을 맡겨 구체적 ...
최종호 / 2023-01-09 / 669호 / 조회수:155
콘텐츠의 변신은 무죄
콘텐츠의 변신은 무죄 우리는 눈을 뜨며 하루를 시작하는 순간부터 다시 잠드는 순간까지, 삶의 많은 부분에서 콘텐츠를 접한다. 우리의 삶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콘텐츠를 통해 우리는 우리의 삶을 들여다볼 수도 있다. 우리의 삶을 간접적으로나마 알게 해주는 이 콘텐츠가 무엇인지, 우리나라 현재 콘텐츠 시장은 어떠한지, 또 앞으로 어떻게 나...
이가연 / 2023-01-09 / 669호 / 조회수:63
리브랜딩, 기업의 이미지 변신
리브랜딩, 기업의 이미지 변신 ▲페이스북에서 사명을 리브랜딩해 출범한 ‘메타’ 로고 2017년 구글의 패션 분야 검색의 1, 2위를 차지한 키워드는 구찌와 구찌스러움(Gucci-ish)이었다. 덕분에 매년 20%씩 매출이 감소해 깊은 고민에 빠져있던 구찌는 기사회생할 수 있었는데, 이런 파격적인 부활을 ...
노승환 / 2023-01-09 / 669호 / 조회수:143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을 보내기 위한 동파 예방법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을 보내기 위한 동파 예방법 추운 날씨, 동파의 주원인 최근 영하 10도를 밑도는 강추위와 폭설이 이어지면서 계량기나 수도관 동파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계량기 동파는 서울 588건을 포함해 전국에서 922건이 접수됐고, 수도관 동파는 ▲서울 ▲충남 ▲경북에서 4건이 접수돼 모두 복구됐...
최윤지 / 2023-01-09 / 669호 / 조회수:71
기사 간단목록
(전체 65건)
[박세정] 2023-03-27
축구에 월드컵이 있다면 야구는 WBC!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
[김시현] 2023-03-27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해결은 누구 몫?
[장수연] 2023-03-27
마약 범죄에 적신호 켜진 대한민국
[오경은] 2023-03-27
팝업스토어, 현명한 소비의 기회로
[최윤지] 2023-03-27
봄의 불청객, 미세먼지
[최종호] 2023-03-13
대한민국에서 기름이 뿜어져 나온다면
[박세정] 2023-03-13
지하철 운행 적자와 노인 무임승차… 해결 방안은?
[최윤지] 2023-03-13
원하는 DNA 싹둑, 세상을 바꿀 ‘유전자 가위’
[김도현] 2023-03-13
현실로 다가온 문제, 인구 절벽
[오경은] 2023-03-13
챗GPT의 침공 혹은 등장
[박세정] 2023-01-09
끝났지만 끝나지 않은 화물연대 파업
[최종호] 2023-01-09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vs ‘과로 사회’로의 개악
[이가연] 2023-01-09
콘텐츠의 변신은 무죄
[노승환] 2023-01-09
리브랜딩, 기업의 이미지 변신
[최윤지] 2023-01-09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을 보내기 위한 동파 예방법
1
2
3
4
5
주요인기뉴스
국제대학 신설, 세계를 겨냥하는 우리대학
3번에 걸친 만평 수정이 말하는 바는 무엇인가
경영정보시스템의 더 나은 미래를 고민하다
미래를 위한 선택, 복수전공과 부전공
축구에 월드컵이 있다면 야구는 WBC!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
2023 대학 회계 총괄표
2023학년도 공군 학군사관후보생 53/54기 모집
창업보육센터 신규 입주기업 모집
붕어빵at붕어방
672호 곽무위키
672호 곽민정음
672호 네컷만화
672호 독자퀴즈
2023년 "상상톡톡" Seoultech 제안제도
신문사 소개
l
창작상
l
방송국 홈페이지
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l
개인정보처리방침
l
이메일무단수집거부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이동훈 I 편집장: 류제형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