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인터뷰
9월 5일(월) 수강신청 서버 오류 사건의 전말
오경은 ㅣ 기사 승인 2022-10-24 14  |  665호 ㅣ 조회수 : 815

 9월 5일(월) 수강신청 서버 오류 사건의 전말



 수강신청 서버 오류로 인해 많은 학우들이 피해를 입은 사건이 있다. 본지는 9월 5일(월)에 발생한 수강신청 서버 오류 사건에 대해 직접 금창희 정보전산원 주무관과 두 차례에 걸쳐 인터뷰를 진행했다.



Q. 수강신청 정정기간 당일 10시 경에 서버 오류(48학점 초과 문구 발생)가 발생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A. 정보전산원에서는 학사 정책 변경 시 수강신청시스템에 해당 기능을 추가 반영 후 성능모의테스트(올해의 경우 8월 4일 진행)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부하와 오류의 원인이 되는 로직 수정을 하여 본 수강신청 업무를 진행합니다. 이번 본 수강신청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수강정정 전 또 다른 기능 추가요청사항이 접수됐고, 해당 기능을 반영하는 과정에서 테스트가 충분치 못해 발생한 오류입니다.



Q. 정정기간 오류 발생 당시 별다른 공지가 없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A. 수강신청 시스템 전산 담당자는 1명으로, 1인이 모든 민원 전화와 프로그램 개발 및 수정 등을 담당합니다. 본 수강신청 때는 담당이 아닌 다른 직원들도 민원 응대를 준비하나 수강 정정 때는 오류가 있었던 적이 없어 준비가 돼 있지 않았습니다. 민원(공지 혹은 전화응대) 업무보다는 프로그램 원인 분석 및 수정에 급급해 공지를 하지 못해 민원 응대에 미숙한 점이 있었던 점 고개 숙여 깊은 사과를 드립니다.



Q. 정정 기간 때 발생한 오류로 인해 피해를 입은 학생들이 많은데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 방안이 있나요?

 A. 피해 배상은 정보전산원 부서 자체 권한 안에서 실질적으로 배상할 수 있는 제도적인 부분이 부족합니다. 다만, 학업 진행에 차질이 없도록 민원인에 대해 학과 연계 등을 통해 일일이 사태 수습 후 사과드렸습니다.



Q. 해당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한 대책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A. 첫째로 본 수강신청과 수강정정의 짧은 기간에 프로그램 로직을 수정한 적이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해당 시기에 들어오는 프로그램 추가 개발 요청사항은 다음 학기에 반영하도록 권고하고, 둘째로 수강신청 기간에 긴급사태 발생 여부에 따라 대응 절차 방안를 부서 자체적으로 마련해 공지 미흡 등 미숙한 점을 제도적으로 개선하고자 합니다. 또한 모든 수강신청 업무 기간에 전산 담당 외 민원 응대 업무 분장을 조정하도록 하겠습니다.



Q. 8월 4일(목) 당시 성능모의테스트의 내용은 무엇이었나요?

 A. 정보전산원에서는 수강신청 전 모의성능테스트를 통해 개선사항 및 추가 튜닝 포인트를 도출해 시스템 최적화 및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목적으로 실시합니다. 수행년도 장바구니 신청 자료를 기초로 해 성능모의테스트를 실시하게 되는데, 내용으로는 ▲최소응답시간 ▲평균응답시간 ▲최대응답시간 ▲10초당 최대저장건수 등 부하의 원인이 되는 요소 등을 테스트 합니다.



Q. 수강정정 기간 직전 기능 추가요청사항은 무엇이었나요?

 A. 기존에는 학생별 선이수로 등록된 교과목 수강신청 시 등록된 교과목만 수강신청이 가능했지만, 선이수로 등록된 수강 신청과목과 동일로 묶인 교과목도 수강신청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변경했습니다. 이번에 발생한 오류는 해당 기능 반영 후 수강 최대학점 기준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입니다.



Q. 현재 수강신청 전산 담당자가 1명인데, 전산 담당자 증원 계획이 있나요?

A. 1차 인터뷰 답변처럼 수강신청 기간에는 다른 업무 담당자분들께 한시적으로 민원 업무를 부여해 학생분들께 최대한 불편함이 없도록 민원에 응대하겠습니다.


기사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쓰기 I 통합정보시스템, 구글, 네이버, 페이스북으로 로그인 하여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확인
욕설, 인신공격성 글은 삭제합니다.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이동훈 I 편집장: 류제형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