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서울테크노파크 부지 활용 협상 타결... 우리대학, 실질적 공간 확보
조유진, 이준석 ㅣ 기사 승인 2025-05-12 13  |  703호 ㅣ 조회수 : 12

▲ 서울테크노파크의 모습. 지난 2004년 우리대학 부지에 건립됐다.

 



 서울테크노파크 건물(이하 테크노파크)의 소유권 및 활용 방안을 둘러싸고 진행돼온 우리대학과 테크노파크 간 협상이 마무리됐다. 이번 협상을 통해 우리대학은 테크노파크 건물 내 약 1,000평(3,300㎡)에 달하는 공간을 실질적으로 확보하게 됐다. 연구 공간이 부족했던 우리대학 입장에서는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



 서울 테크노파크는 약 20년 전, 당시 前윤진식 총장 재임 시절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우리대학 부지에 설립됐다. 당시 서울시는 약 600억원을 투입해 테크노파크 건물을 건설했고, ‘국유재산법’의 기부채납 조항에 따라 20년이 지나면 건물이 대학 소유로 자동 귀속될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실제로 건물이 대학 소유의 부지 위에 세워졌기 때문에, 일정 기간 후 대학이 직접 공간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테크노파크둔 소유권 분쟁, 협상 통한 활용성 확보



 그러나 10년 전, 중소벤처기업부가 테크노파크 관련 법령을 개정하면서 상황은 복잡해졌다. 법령이 개정되면서 우리대학이 소유권을 주장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우리대학은 테크노파크 측이 운영을 계속 원할 경우 건물을 회수하거나 독자적으로 활용하기 힘든 상황에 놓였다. 기존의 국유재산법상 소유권 귀속 기대와 충돌하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 해당 개정으로 인해, 테크노파크 측이 계속해서 임대를 원할 경우 우리대학이 건물을 회수하거나 독자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진 것이다.



 이런 법적·제도적 변화는 우리대학에 상당한 제약으로 작용했다. 단순히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는 데 그칠 뿐 아니라, 대학이 연구와 산학 협력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필요한 자산 운용 계획에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특히 우리대학은 최근 하이테크관 공사로 인해 실험실 및 연구 공간 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기에, 테크노파크 건물의 활용 가능성은 중요한 문제였다.



 이에 따라 우리대학은 법적 분쟁보다는 현실적인 협상을 통해 실질적 이익을 확보하는 방향을 택했다. 협상은 단순히 임대료나 공간 규모를 놓고 벌어진 것이 아니라, 양 기관의 운영 목적과 공공성, 향후 발전 방향 등을 고려한 다층적인 논의였다. 협상 결과, 테크노파크 건물의 3층, 4층, 6층 일부와 근처 어린이집을 포함한 약 1,000평의 공간을 우리대학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정됐다. 이는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 확보를 넘어, 우리대학의 연구 인프라 확대와 교육 여건 개선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테크노파크 활용권 일부 확보로 연구실 확보…입주기업은 교수 협력관계로 제한



 또한, 반도체 연구를 위한 클린룸과 같은 시설의 경우, 높은 유지관리 비용으로 인해 테크노파크 측이 계속 운영하되, 우리대학이 별도로 약 125평의 공간을 추가로 활용하는 것으로 잠정 합의가 이뤄졌다. 이로 인해, 우리대학은 공동 활용 모델을 채택함으로써 고비용 장비를 더욱 효율적으로 공유하며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 협상의 또 다른 핵심은 입주 기업에 대한 조건 설정이다. 향후 기존 기업이 퇴거할 경우, 새롭게 입주하는 기업은 반드시 우리대학 교수와 협력 관계를 맺은 경우에 한해 입주가 가능하다.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테크노파크가 실질적으로 대학 중심의 산학협력 플랫폼으로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존처럼 외부 기업이 단순히 입주하는 방식이 아니라, 대학 연구와 연계된 실질적인 협력체계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구조다.



 만약 이번 협상이 소송으로 이어졌다면, 오히려 우리대학이 공간을 전혀 사용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존재했다. 법 개정으로 인해 테크노파크 측의 지속적 운영이 허용된 만큼 소송 결과는 불확실했고,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될 우려도 있었다. 그러나 양측이 현실적인 타협점을 찾으며, 우리대학과 테크노파크가 상호 윈윈할 수 있는 방향으로 결론을 낸 셈이다.



 무엇보다도 이번 공간 확보는 실험실과 연구 공간이 부족했던 우리대학의 현실을 일정 부분 해소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 2년 후 하이테크관 공사가 완공되면, 현재 분산된 연구 공간은 새로운 건물로 통합될 예정이며, 그전까지 테크노파크 내 공간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번 합의는 단순한 행정 절차나 임대계약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대학의 미래 연구 전략과 자산 운영, 그리고 외부 기관과의 협력 관계에 있어 유연하면서도 전략적인 판단이 만들어낸 결과이다. 앞으로 서울테크노파크는 단순 임대 공간을 넘어, 우리대학과 연계된 기업과 연구 활동이 어우러지는 복합 연구 공간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조유진 기자 yujin0505@seoultech.ac.kr

이준석 기자 hng458@seoultech.ac.kr


기사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쓰기 I 통합정보시스템, 구글, 네이버, 페이스북으로 로그인 하여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확인
욕설, 인신공격성 글은 삭제합니다.
703호 독자퀴즈
제30회 어의문화예술상 공고
703호 곽곽이 그리기 대회
703호 이주의 한컷 - 동아리연합회 '봄봄봄 버스킹'
703호 곽곽네컷 - 벌써 축제야!?
건축의 장면
가사로 노래하고, 패션으로 말하다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김동환 I 편집장: 김민수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