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 새로운 기회의 영역
▲ 인공지능(AI)을 비롯한 IT업계 인력 부족 실태 / 출처:한국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모두가 AI 개발자를 원한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비대면 트렌드가 사회, 경제 전 분야로 확산하면서 IT 개발인력의 수요가 대폭 증가했다. 반면 인력 공급은 크게 늘고 있지않은 상황이라 IT 개발자들의 몸값이 날이 갈수록 치솟고 있다. 많은 기업이 개발자를 한 명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치열한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인터넷이나 게임 업계는 물론이고 ▲금융 ▲유통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 업종을 가리지 않고 개발자 확보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요즘 들어 IT 업계에서 떠오르는 분야라고 하면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가상현실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인공지능이 가장 주목할만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인 인공지능은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하는 것을 말한다. 인공지능은 정확한 판단과 분석, 방대한 정보수집에 특화돼있기 때문에 비대면 트렌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국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에 따르면, IT 개발자 수급이 올해는 9,453명 부족하고 내년에는 14,514명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에서 인공지능 인력이 내년까지 9,986명 부족할 전망이다. 특히 인공지능 개발 관련 신입과 경력직의 취업 양극화가 심해지는 추세다. 단기 교육을 이수하고 바로 취업 시장에 뛰어드는 신규 인력은 중소기업의 눈높이를 맞추기도 쉽지 않은 데 비해,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경력직은 그 수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국내 AI 개발 인력 중에서 소프트웨어교육 수료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인력은 21.3% 밖에 되지 않는 실정이다. 소프트웨어교육에 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인프라를 마련하는 것 또한 시급하다.
개발자 품귀 현상의 심화
중소기업, 대기업 가릴 것 없이 개발자는 정말 귀한 몸이다. 특히, 대기업 중에서 LG가 개발자들에게 억대 연봉을 지급하겠다고 나선 것이 눈에 띈다. LG는 2019년부터 인공지능 분야에서 박사 학위와 직무 경험을 갖춘 개발자에게 최소 1억 원부터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의 연봉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기존 인공지능 인력 시장은 스타트업 중심이었는데, 최근 들어 전통적 제조 대기업들이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해 많은 자금을 투입하는 것이다.
인공지능 인력의 수요와 공급이 크게 차이가 나면서, 기업끼리 마찰을 빚고 개발자들이 기업에 무리한 요구를 하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SK텔레콤이 쏘카 개발 관련 임직원들을 영입하려 한 사실이 밝혀져 쏘카가 SK텔레콤에 공식 항의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또한 한 스타트업 회사가 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개발자를 영입하기 위해 최고 직책과 억대 연봉을 제안했는데, 개발자가 회사 지분 30%와 본인이 데려오는 5명의 고액 연봉까지 보장하라는 요구를 해 회사가 개발자 영입을 포기하는 일도 있었다. 이 정도로 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개발자 품귀 현상이 심한 상황이니 인공지능 개발을 꿈꾸는 이들에게 현재 IT업계가 정말 기회의 땅이지 않을까?
인공지능 개발자가
되기 위해
인공지능 개발은 일반적인 프로그래밍과 달리 코딩 능력과 동시에 수학 등의 기초 학문 역량도 필수적으로 갖춰야 하며 대학원 진학이 필수로 여겨지고 있다. 인공지능 이외에 개발자의 관심 분야를 같이 공부해 인공지능을 각 분야에 적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우리대학 IT정책전문대학원에는 AI공공정책전공이 존재한다. 이 전공은 인공지능 기반 사회를 구축하는 목적으로 인공지능을 전략적 정책수립과 공공서비스 제공에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인력 양성을 도모한다.
오늘날 각 대학에서 인공지능 관련 학과를 잇따라 신설해 인공지능 사회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대학 역시 정부의 미래 인재양성정책에 따라 올해 인공지능응용학과를 신설했다. 우리대학은 올해 인공지능응용학과에 입학한 신입생 모두에게 4년간 장학금을 지급하며, 다양한 산학 프로그램에 따라 장학 제도를 확충할 예정이다. 또한 해외 우수 대학과의 글로벌 공동 학위 과정을 계획하고 있고, 해외 연구소들과의 인턴십 기회를 확대할 예정이다.
인공지능을 비롯한 IT업계의 시장 규모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국정보산업연합회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국내 IT 시장 지출 예상액은 23조 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고, IT 서비스 지출 예상액은 13조 9,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
비대면 트렌드 확산으로 세상이 빠르게 변하는 지금이 인공지능 개발을 꿈꾸는 이들에게는 중요한 기회가 된다. 많은 분야에서 새로운 개발자를 애타게 원하는 만큼, 우리대학에서도 인공지능 관련 분야 진출을 계획하는 재학생들이 훗날 훌륭한 개발자가 돼 자신의 역량을 마음껏 뽐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