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대학 박유림(행정·22), 최지은(행정·22) 학우는 서울특별시의회와 한국지방의회학회가 주최한 ‘제3회 서울특별시의회 청년 학술논문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번 공모전은 서울의 인구감소 문제해결을 청년들의 시각에서 모색하고 지방의회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박유림, 최지은 학우는 「서울 인구 감소 문제와 지방의회의 역할 및 기능에 관한 연구 : 자치구별 인구 과밀화 문제와 한국 풍조를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논문을 통해 공모전에 참가했다. 최지은 학우와 인터뷰를 진행해 공모전 참가 경험과 과정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봤다.
Q. 이번 공모전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A. 저는 행정학과 학술 동아리 PASS에서 매년 공모전에 참여해 왔습니다. 이번에는 ‘withUS’라는 프로그램 동아리에 선정되면서 그 일환으로 공모전에 참가했습니다. 여러 공모전 주제 중에서 저는 서울특별시의회 청년 학술논문 공모전을 선택했습니다. 평소 서울시가 인구 과열 문제를 겪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기에, ‘서울시 인구감소 문제 해결을 위한 지방의회의 역할 및 기능 강화 방안’이라는 주제가 신선하게 다가왔습니다. 또한 서울특별시의회는 수도의 의회로서 다른 지방의회와는 차별화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 생각해 연구해 보고 싶어 이번 공모전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Q. 팀원과의 역할 분담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A. 이번 공모전은 행정학과 동기인 박유림 학우와 함께 2인 팀으로 공모전에 참여했습니다. 저희는 먼저 주제를 선정한 후, 서론과 본론을 나누어 진행했습니다. 이후 세부 주제와 핵심 제언을 결정한 뒤 각자가 조금 더 관심 있는 분야나 잘 알고 있는 주제에 대해서 나누어 작성했습니다. 서론(연구 배경 및 연구 질문, 연구 목적, 연구 필요성), 이론적 배경(지방의회의 개념, co-production, 해외 사례), 연구 방법, 연구 결과(설문조사 결과, 인구감소 원인, 지방의회의 역할과 문제점), 논의 및 제언(주민과의 연대-코프로덕션, 서울시 분위기 전환, 전문성 강화), 결론의 논문 순서를 정하고 기존 내용의 구성을 바꾸거나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마지막으로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서로의 부분을 맡아 보완하는 방식으로 진행해 논문의 전체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작성할 수 있도록 역할 분담을 했습니다.
Q. 공모전을 진행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이 있었나요?
A. 논문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설문조사 진행이었습니다. 저는 서울특별시 인구감소 문제와 서울특별시의회의 역할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해 서울특별시 청년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설문조사의 내용을 주제와 구조에 맞게 정리하는 과정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양식 조정이 어려웠습니다. 또한 아직 학부생으로서 설문조사의 표본을 충분히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응답자의 연령대가 20대로 한정되면서 서울특별시 전역의 청년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기 힘들었습니다. 그런 이유로 서울특별시 전역의 청년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못했고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전문적으로 진행하지 못해 미흡했던 점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Q. 최우수상 수상 소감이 궁금합니다.
A. 동아리를 통해서 지원하게 된 공모전이었는데 좋은 결과를 얻게 되어 놀랍고 감사했습니다. 논문을 준비하는 과정도 제게 큰 배움이 됐습니다. 우리 사회의 경쟁 체제와 한국의 특수한 경향들이 인구 문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연관성을 발견하고 깊이 고찰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또한 의회에서 진행한 공모전 발표회에 참석한 것이 제가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뜻깊은 계기가 됐습니다. 다른 수상자분들의 논문과 발표를 들으며 다양한 관점에서 접할 수 있었고, 제 시각도 더 넓어졌습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앞서 말씀드렸듯이 저희가 진행한 설문조사가 서울특별시 전역의 청년 의견을 대변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느꼈습니다. 하지만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질 높은 조사를 진행하고 싶다는 새로운 동기부여가 생겼습니다.
Q. 앞으로의 연구 계획이나 목표가 있나요?
A. 서울특별시의회에서 주최하는 학술논문 공모전에 지속적으로 참여해 서울특별시의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 인식하고,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싶습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정부 부처에서 주최하는 공모전에도 참여해 관심 분야의 시야를 넓히고 조금 더 전문적인 연구를 진행해 볼 계획입니다.
최지은, 박유림 학우의 수상 논문은 서울시의 저출생 문제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들은 수도권 일극체제, 경쟁 중심 사회, 교육 과열, 주거 문제 등 저출생의 주요 원인을 경쟁 체제와 사회 구조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했으며, 해결책으로 코프로덕션 정책, 전문성 향상, 서울시의회의 역할 강화를 제안했다. 청년 세대의 시각에서 인구 감소와 저출생 문제를 조명하고, 서울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들의 논문은 서울특별시의회에서 발간하는 예산과 정책 12월 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최현준 수습기자 hyunjun@seoultech.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