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좁아지는 임용문에 폐지되는 교직과정
2022년도를 마지막으로 우리대학 교직과정이 폐지된다. 교직과정은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2학년에 신청할 수 있는 과정으로, 2022학년도 신입생들부터는 교직과정을 이수할 수 없다.
교직과정,
폐지 이유는?
우리대학은 2002년에 교직과정이 신설됐다. 주간으로 입학해 학과를 배정받은 2학년 재학생 중 희망자에 한해 교직과정을 이수할 수 있었다. 설치 학과와 선발 인원은 조금씩 변동돼왔고, 2021년도 모집 기준으로 식품공학과, 조형예술학과 등 7개 학과에 설치돼 있었으며, 정원은 총 16명이었다.
교직과정을 이수하면 2급 정교사 자격증이 부여돼 임용시험에 응시하거나 사립학교에 지원할 자격이 부여된다. 사범대학을 졸업하거나 교육대학원(양성과정)을 졸업해도 동일한 자격이 주어진다.
교육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등학생 수는 2013년 189만여 명에서 2022년 126만여 명으로 10년 간 33%가량 감소했다. 반면 고등학교 교원 수는 10년간 13만여 명으로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됐다.
2020년 중등 교원자격증 취득자는 1만 9,336명으로 임용시험 모집인원인 4,410명의 4배를 넘어섰다. 학생 수가 꾸준히 감소하고 교원 자격증 취득자 수가 정원을 넘어서면서 ‘임용시험 낭인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교사 정원 축소,
불가피한 결정
이에 교육부는 지난해 2월 ‘2020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에서 일반대학 교직과정, 교육대학원에서 각각 1,800명, 1,200명씩 총 3,000여 명의 교원 양성 규모를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사범대학 ▲일반대학 교육과(윤리교육과 등) ▲일반대학 교직과정 ▲교육대학원(양성과정) ▲교육대학원(재교육)의 기관에 대해 A~E로 등급을 부여했으며, 교육대학원(재교육)을 제외한 기관에 대해서는 C등급 기관 30%, D등급 기관 50%만큼 정원을 축소하기로 결정했다. E등급을 받은 ▲부경대 ▲창원대 ▲한성대는 교직과정이 폐지됐다. 우리대학은 C등급을 부여받아 30% 정원 감축 대상이었지만, 각 학과의 의견을 수렴해 완전한 폐지를 결정했다.
발표와 함께 유은혜 前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 ▲인구구조변화 ▲코로나-19 등 교육환경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미래 교육을 이끌어가는 우수한 예비 교원을 양성하고, 교원양성기관에서 자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올해 2월 발표된 2021년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에서도 C등급을 받은 43개 기관, D등급을 받은 7개 기관에 대해 각각 30%, 50%의 정원 감축이 이뤄질 예정이다.
교직과정의 존폐를
둘러싼 논쟁
한편 일반대학의 교직과정을 아예 폐지하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범대 ▲일반대 교육과 ▲교육대학원(양성과정)에서 배출하는 교사로도 충분하다는 의견이다. 다만 보건교사 등 비교과 영역 교사의 경우, 교육대학원이나 사범대학에서 교원을 양성하기 한계가 있으므로 완전한 폐지는 어렵다. 실제로 아직까지 보건교사가 되기 위한 방법은 일반대학의 간호학과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방법 외에는 없으며,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원에서 보건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는 없다.
보건교사를 비롯해 ▲사서교사 ▲영양교사 ▲전문상담교사 ▲특성화고등학교의 일부 전문 과목 교사 또한 사범대학에서 배출할 수 없어 일반대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 교직과정의 완전한 폐지는 불가능하다.
교육부는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의 규모 축소를 바라보고 있다. 해당 기관의 양성 규모를 대폭 축소해 교직과정은 전문교과나 선택과목 중심으로 유지하고, 교육대학원은 양성보다 기존 교원 재교육의 기능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매년 일정 규모의 교원 양성이 필요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정보·컴퓨터 ▲기술 ▲가정의 과목은 점차 규모를 축소해 사범대학에서만 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다만 앞으로 교직과정에서 고교학점제와 산업구조 변화 등에 따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과목의 교사 양성은 적극 장려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재 입학정원 10% 내에서 운영하던 신규분야 교직과정은 30%내에서 운영할 수 있도록 확대하기로 했다.
시대가 빠르게 변하고 있는 만큼 신속한 결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교육부가 단순히 교원 감축의 측면으로만 접근하지 않고, 다방면에서 신중하게 해석해 최선의 결정을 내리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