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출구 없는 미로
이소미 ㅣ 기사 승인 2024-08-22 13  |  693호 ㅣ 조회수 : 115

이소미(도예·24)



 마약은 왜 금지될까? 우리가 흔히 말하는 마약은 마약류의 한 종류이다. 마약류는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대마로 이뤄져 있다. 마약은 순간적으로 높은 쾌락을 느끼게 하는 약물로 투약하게 되면 환각 증상을 일으키고 신경계에 각성 효과를 일으킨다. 담배나 술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중독성이 강해 한번 접하게 되면 일상생활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로 심한 금단 현상에 빠지게 된다. 중독성이 강한 만큼 부작용 역시 강해 처음에는 극도의 쾌락을 느끼지만 계속 복용하게 되면 내성이 생겨 마약을 복용하지 않은 때에는 극도의 우울감을 느끼게 한다. 마약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겉으로 보기에 마약은 한 개인만 망가뜨리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마약의 의존성은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킨다. 마약의 금단현상은 돌발행동을 일으키거나 충동적 범죄를 일으키기도 한다. 중국의 아편전쟁을 사회적 문제의 예시로 들 수 있다. 영국은 무역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은을 받고 인도산 아편을 중국에 다량 밀매했다. 이에 중국의 은이 대량 유출돼 재정파탄을 직면했고 늘어난 아편으로 인해 절대 빈곤층까지도 아편 중독자가 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렇듯 마약이 가져오는 문제는 개인에게만 국한되지 않는다.



 미국은 현재 17개의 주에서 대마초가 합법화됐다. 미국 필라델피아 켄싱턴에는 일명 ‘좀비 거리’가 있다. 마약 중독자들이 넘쳐나는 이곳은 관절이 꺾인 채 좀비처럼 행동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필라델피아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마약에 취해 거리에 누워있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고 집이나 지하철에서도 마약 냄새를 맡을 수 있다. 2022년 아시아 최초로 태국이 대마초를 합법화하며 마약에 대한 접근이 점점 쉬워지고 있다. 당국이 마약을 합법화한 뒤로 태국 여행에서 음료나 음식을 모르고 먹었다가 마약사범이 되는 사례가 줄줄이 이어져 우리도 마약 복용의 위험에 상당히 노출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마약을 합법화한다면 어떻게 될까? 마약을 쉽게 구할 수 있는 상황이 된다면 마약의 중독성으로 수요가 폭증할 것이다. 마약 조직의 규모는 커지고 이는 범죄 발생의 원인이 될 것이다. 환각성이 낮은 마약만 합법화하더라도 한 번 마약에 발을 들이면 이후에는 상위 마약을 찾게 돼 마약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최근 대학생 연합동아리에서 단체로 마약을 권유하고 투약한 사건으로 마약이 일상에 퍼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 커뮤니티에서 친목 도모를 위한 동아리로 홍보한 동아리 회장은 마약을 받아 동아리원들에게 팔았다. 이렇게 우리 일상에 가까워진 마약을 하지 않기 위해 우리도 마약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이번 대학생 동아리 사건에서는 마약을 권유할 때 ‘우울증에 효과가 있다’는 정확하지 않은 정보로 마약 투약의 공범을 만들었다. 우리도 마약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반응과 그에 따른 부작용을 알고 호기심이 들더라도 마약 투약을 시작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기사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쓰기 I 통합정보시스템, 구글, 네이버, 페이스북으로 로그인 하여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확인
욕설, 인신공격성 글은 삭제합니다.
2025학년도 1학기 신문방송사 수습기자 모집
2025회계연도 대학회계 본예산서 총괄표
2024회계연도 대학회계 제3차 추가경정예산서 총괄표
2025학년도 우리대학 연간 학사 일정
망한 시간표 대회
701호 곽곽네컷
우리대학 캠퍼스 가이드
서울과기대 신문방송사, 얼마나 알고 있나요?
곽곽이에게 물어봐!
2025 교내 중앙자치기구 소개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김동환 I 편집장: 김민수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