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0호 최종편집 : 2023.9.18 월 00:00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전체메뉴
HOME
|
창작상
|
대표 홈페이지
예술상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영문PDF
l
호별기사
l
LOGIN
예술상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오피니언
전체
외부기고
교수님, 똑똑똑
교내기고
시와산책
단신모음
특별기고
공릉골
만평
기자수첩
학생투고
기사 상세목록
(전체 40건)
다양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
홍지현(GTM·23) 우리는 누구나 자신만의 가치관, 신념을 가지고 살아간다. 힘들었던 사건에서 해결한 경험, 당차게 준비했다가 실패한 경험, 인간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
홍지현 / 2023-09-18 / 680호 / 조회수:18
영웅 없는 시대
최종호(전정·19) 당신에게는 늘 마음에 품고 다니는, 소위 영웅이라고 불릴만한 사람이 있나? 시대의 상징이고, 그 사람이 걸어온 발자취 하나하나가 나에게 영감이 돼주는, 비열한 삶을 살기보단 용기 있는 선택을 하는 그런 사람. 아무리 눈을 씻고 찾아봐도 그런 인물은 현재의 대한민국에 존재하지 않는다. 용기 있는...
최종호 / 2023-09-05 / 679호 / 조회수:26
평등이 만든 불공정
김도현 (전정·22) 2023년 대한민국 육군은 창군 이후 최초로 학군사관(ROTC) 후보생 모집 기간 연장 및 추가 모집을 단행할 계획이다. 학군사관의 경쟁률은 2015년 최고점인 4.8:1 이후 지속해 감소하여 2022년 2.4:1로 최저 경쟁률을 기록했다. 육군학생군사학교는 매년 3월에만 이뤄지던 학군장교 임관을 올...
김도현 / 2023-08-21 / 678호 / 조회수:37
What is common life?
서나연 (문창·22) 요즘 카페를 가면 어디서나 종이 빨대를 사용하는 것 같다. 처음에는 사람들의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이 통하고 있어서 하나둘씩 바뀌어간다고 생각하여 뿌듯한 모습으로 바라봤다. 그런데 어느 날 종이 빨대에도 코팅이 되어 있어서 재활용이 불가능하다는 글을 보고 의구심이 들었다. 과연 사람들의 환경을 생각하는...
서나연 / 2023-07-03 / 677호 / 조회수:101
‘값비싼 새마을호’, KTX
박세정 (전정·22) 기자의 본 고향은 광주광역시다. 그래서 광주와 서울을 KTX로 오가곤 한다. 버스를 이용하면 평균 4시간이 걸리지만 KTX를 이용하면 1시간 40분 정도 소요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요즘 KTX 소요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처음 호남선 KTX를 개통했을 때, 서울에서 광주까지 가장 빠른 열차는 1시...
박세정 / 2023-06-19 / 676호 / 조회수:78
인간관계에도 미니멀리즘이 필요한 때
오경은 (영문·21) 코로나 학번에게 2022년은 신기한 경험 투성이었다. 새내기 때 새터와 MT, 축제 등 각종 행사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대체됐다. 또한 기자의 경우 시간표에 실험이나 실습이 포함된 과목도 없어서 전공관 자체에 갈 일이 없었다. 이러다 보니 같은 과에 누가 있는지조차 모르고 2학년을 맞게 돼 불편했다...
오경은 / 2023-05-15 / 675호 / 조회수:100
나이를 먹어 간다는 것
최윤지 (정밀·22) 1년이 지나면 나이를 먹게 된다. 한살 한살 먹을 때마다 좋아하는 이가 있는가 하면 나이를 먹는 게 싫다고 하는 사람도 볼 ...
최윤지 / 2023-04-17 / 673호 / 조회수:151
문학은 어떻게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가
문학은 어떻게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가 최종호 (전정·19) 우리가 사는 21세기는 분명 과학의 시대이다. 어떤 질문에 대해 이곳저곳에서 아무리 많은 말이 쏟아져도 진짜 답을 말하는 것은 늘 과학자의 몫이라고 현대인들은 생각한다. 하지만 동시에 온갖 동서고금의 드라마와 영화들로 가득 찬 OTT산업의 시장규모도 걷잡을 ...
최종호 / 2023-03-13 / 671호 / 조회수:139
청춘은 우리의 인생에서 단 한 번밖에 오지 않는다
청춘은 우리의 인생에서 단 한 번밖에 오지 않는다 김시현 (전정·22) 기자는 어릴 때부터 여행 다니는 것을 좋아했다. 기자의 가족은 캠핑을 좋아해 매번 계절이 바뀔 때면 방방곡곡 캠핑을 갔으며, 어렸을 때는 매주 주말마다 여기저기 많이 놀러 다니기도 했다. 어쩌다 한 번씩은 해외여행도 다녀왔다. 기억도 나지 않을 꼬꼬...
김시현 / 2023-01-09 / 669호 / 조회수:243
뛰는 사람에겐 걷는 게 휴식이다
뛰는 사람에겐 걷는 게 휴식이다 김도현 (전정·22) 기자는 비교적 자유분방하게 살아왔다고 생각한다. 자유에는 책임이 따르기에 그동안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한 거 같다. 기자가 엎지른 물을 닦기 위해 책임을 지기 위해 다른 사람들보다 더 열심히 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학교를 온 것은 너무...
김도현 / 2022-12-05 / 668호 / 조회수:233
외모지상주의로부터 자유로운 현실을 꿈꾸며
외모지상주의로부터 자유로운 현실을 꿈꾸며 이지윤 (영문·22) 외형적인 부분을 우선으로 하는 사상, 외모지상주의. 잘못된 사상이라는 것을 알지만 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 외적인 부분을 볼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 그 사람과 몇 마디 대화를 나누다 보면 성격을 통해 처음 봤을 때의 인상과 달라 보이는 경우도 흔치 않게 ...
이지윤 / 2022-11-22 / 667호 / 조회수:513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심재민 (화생공·19)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은 무엇일까? ▲인신매매 ▲장기매매 ▲성매매 등 돈으로 사고파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한 예는 무수히 많다. 그런데 정말로, 우리는 그것들을 돈으로 살 수 없을까? 사실 돈이 있고 마음만 있다면 얼마든지 살 수 있다. 마이클 샌델은 그의 저서 ...
심재민 / 2022-11-08 / 666호 / 조회수:239
두려움이 없는 낭만의 세계를 바라며
두려움이 없는 낭만의 세계를 바라며 서나연 (문창·22) 우리는 많은 사람을 만나며 살아간다. 어떤 사람은 오랫동안 곁에 남아 새겨지기도, 또 어떤 사람은 금방 스쳐 지나가는 인연으로 지워지기도 한다. 우리는 수많은 사람을 만나고 또 지나 보내는 과정 속에서 새로운 이들을 계속해서 마주한다. 그리고 기자는 새...
서나연 / 2022-10-17 / 665호 / 조회수:317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기후 위기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기후 위기 이가연 (안전·21) 지난 3년간의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뒤바꿔놓았다. 하지만 우리에게 찾아온 위기는 코로나-19뿐만이 아니었다. 올여름 유럽에서는 전례없던 가뭄이 발생했다. 그런가하면 파키스탄에서는 전에 없던 폭우로 인한 홍수로 몸살을 앓았다. 전 세...
이가연 / 2022-09-26 / 664호 / 조회수:191
우리는 손흥민의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는 손흥민의 시대에 살고 있다 김계완 (전정·17) 5월 22일(일) 0시, 2021-2022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의 마지막 경기인 38라운드 10경기가 동시에 시작했다. 손흥민 선수(이하 손흥민)가 속해있는 토트넘 홋스퍼(이하 토트넘)에는 굉장히 중요한 경기였다. 토트넘은 이...
김계완 / 2022-08-05 / 661호 / 조회수:163
기사 간단목록
(전체 40건)
[홍지현] 2023-09-18
다양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
[최종호] 2023-09-05
영웅 없는 시대
[김도현] 2023-08-21
평등이 만든 불공정
[서나연] 2023-07-03
What is common life?
[박세정] 2023-06-19
‘값비싼 새마을호’, KTX
[오경은] 2023-05-15
인간관계에도 미니멀리즘이 필요한 때
[최윤지] 2023-04-17
나이를 먹어 간다는 것
[최종호] 2023-03-13
문학은 어떻게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가
[김시현] 2023-01-09
청춘은 우리의 인생에서 단 한 번밖에 오지 않는다
[김도현] 2022-12-05
뛰는 사람에겐 걷는 게 휴식이다
[이지윤] 2022-11-22
외모지상주의로부터 자유로운 현실을 꿈꾸며
[심재민] 2022-11-08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서나연] 2022-10-17
두려움이 없는 낭만의 세계를 바라며
[이가연] 2022-09-26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기후 위기
[김계완] 2022-08-05
우리는 손흥민의 시대에 살고 있다
1
2
3
주요인기뉴스
2023 횃불제, 젊음에 불을 지피다
학생상담센터, ‘마음챙김 콘텐츠 공모전’ 성료
초전도체 논란, 호들갑보다는 차분하게 지켜봐야
곽대인을 만나다_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이유, 결핍을 사랑으로 메꾸다
소멸 직전, 위기의 대한민국
680호 곽곽네컷
여름과 가을의 교차점에서
금리와물가,증시의관계
곽대인을 만나다_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이유, 결핍을 사랑으로 메꾸다
신문사 소개
l
창작상
l
방송국 홈페이지
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l
개인정보처리방침
l
이메일무단수집거부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이동훈 I 편집장: 류제형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