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안녕, 용문객잔>
최율 ㅣ 기사 승인 2025-07-13 17  |  705호 ㅣ 조회수 : 0

 대만의 거장 차이밍량 감독의 2003년 작 <안녕, 용문객잔>은 유행과 시대가 바뀌며 소멸해 가는 낡은 소극장의 마지막 모습을 잔잔하고 섬세하게 표현하며 점차 사라져가는 옛것들에 대한 작별 인사를 조용히 건넨다.



 영화는 폐관 전 마지막 상영을 앞둔 1,000석 규모의 큰 극장인 “복화대극장”의 상영관을 비추며 시작한다. 극장 스크린에는 무협 영화 <용문객잔>의 첫 장면이 비치며 영화는 그 상영 시간 동안 극장의 구석구석과 그 안에 머무는 사람들을 조용히 비춘다. 스크린에서는 창검을 휘두르는 전투가 펼쳐지지만, 텅텅 빈 썰렁한 객석은 이와 대비되며 낯선 몰입감을 만들어낸다.



 영화 속 등장인물 사이의 대화는 놀랍게도 거의 없다. 첫 대사가 나오기까지는 40여 분이 걸리지만, 침묵 속에서도 인물들의 움직임과 시선만으로 각자의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전해진다. 영화관의 여자 매표원은 자신이 짝사랑하는 영사 기사에게 극장의 마지막 영업이 끝나기 전 자신의 마음을 전해보고자 끝없이 계단을 오르내리며 고민하고, 일본인 게이 관객은 함께 밤을 보낼 이를 찾고자 누구든 눈을 맞춰보려 하지만 번번이 외면당한다. 상영 중인 영화 <용문객잔>의 주연으로 출연했던 두 할아버지는 마지막으로 자신이 출연했던 영화를 보고자 상영관을 찾았다. 서로의 존재를 모르고 영화를 관람하던 두 할아버지는 스크린에 둘의 대련 장면이 펼쳐지던 장면에서 사람들이 모두 중간에 나가고 텅 빈 극장에 덩그러니 남은 서로를 알아본다. 영화의 상영이 끝나고 관객들이 모두 퇴장한 후 약 2분간 텅 빈 관객석을 비추며 이어지는 정적은 관객들에게 강렬한 여운을 남기며 마지막 상영을 마치고 폐관되어 사라질 복화대극장을 떠나보내는 장례식과 같은 느낌을 자아낸다.



 조용하게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관객들에게 전하는 영화 <안녕, 용문객잔>은 등장인물 사이의 말 없는 대화, 감정 없는 이별 속에서 관객들에게 강렬한 감정를 전달한다. 오랜 시간 곁에 있었음에도 어느새 새로운 것들에게 밀려나 잊히는 것들을 기억하고 슬퍼하는 감정 말이다. 복화대극장의 마지막 상영처럼 작별을 준비하는 이들이 있다면 <안녕, 용문객잔>을 감상하며 조용히 작별 인사를 건네보는 것은 어떨까.


 

최율 기자

obdidian0428@seoultech.ac.kr


기사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쓰기 I 통합정보시스템, 구글, 네이버, 페이스북으로 로그인 하여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확인
욕설, 인신공격성 글은 삭제합니다.
2025회계연도 대학회계 제1차 추가경정예산서 총괄표
사진투고_내 곽곽이가 제일 귀여워!
여기어때_론 뮤익
2024회계연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회계 결산 총괄표
704_이주의한컷 - 학생복지위원회 'Buddy Box'
704_곽곽네컷 - 오늘은 분명 더울거야!
704_독자퀴즈
곽대인을 만나다_묵묵히 캠퍼스를 지키는 경비원 김성희 씨와의 인터뷰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김동환 I 편집장: 김민수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