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9호 최종편집 : 2025.1.6 월 00:00
구독신청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전체메뉴
HOME
|
창작상
|
대표 홈페이지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지역보도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영자신문사
l
호별기사
l
LOGIN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지역보도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광장
전체
공지
독자퀴즈
학사
시시비비
기자의 추천
곽민정음
일러스트
신문사
궁금해요
Q&A
세상세상곽지경
캠퍼스
이주의 한컷
곽!잡은 시사상식
광고
무비톡톡
수습일기
곽무위키
알쓸신물
기자의 체험일기
곽곽이모여라
과기대툰
기사 상세목록
(전체 26건)
그림 생성형 AI 잡는 창, 나이트셰이드
인터넷에 업로드된 저작권이 있는 그림을 무단으로 도용해 AI 학습에 사용하는 문제가 불거졌다. 그림 업계에서는 자신이 그린 그림이 AI 학습에 쓰이는 것을 원치 않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에 그림 업계에서 저작권 무단 도용에 대한 대항마로 나온 도구가 ‘나이트셰이드’이다. 나이트셰이드는 미국 시카고 대학 연구팀...
최율 / 2024-11-05 / 696호 / 조회수:97
수소에너지에도 종류가 있다
전 세계에서 신재생에너지 상용화를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수소에너지가 미래 신재생에너지 자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모든 수소에너지가 친환경적인 것은 아니다. 수소에너지는 생산 방식에 따라 색깔의 명칭으로 구분된다. 석유화학 공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산하거나 천연가스를 고온·고...
김종현 / 2024-06-24 / 691호 / 조회수:212
최후의 대책 ‘지구공학’
최근 ‘지구온난화’, ‘기후위기’와 같은 단어를 들어보지 못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기후위기는 미래의 문제가 아닌, 현재 당면한 문제로서 전세계적으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운동이 세계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나, 쉽게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그렇기에 많은 과학자가 최후의 대...
이준석 / 2024-04-29 / 688호 / 조회수:100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변화, 3D와 2E
세계는 지금 변화하는 에너지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우리의 삶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에너지, 현재 에너지 시장은 왜, 그리고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변화하는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패러다임을 5가지 키워드를 통해 살펴보자. 첫 번째 단어는 탈탄소화(Decarbonization)이다. 탈탄소화는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가 강화되고 ...
김서진 / 2024-01-08 / 684호 / 조회수:176
강세·약세? 평가절상·평가절하? 환율에 관하여
증시 뉴스나 기사에서 강세•약세, 평가절상•평가절하와 같은 용어를 한 번쯤 접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환율에 관해서 상승•하락 같은 말은 흔히 접해도 강세•약세, 평가절상•평가절하와 같은 말을 들으면 헷갈려지기 마련이다. 이 용어들의 개념을 환율의 상승•하락과 연결 지어 알아보도록 하자. ...
박율 / 2023-12-04 / 683호 / 조회수:594
색채 미술의 대가, 앙리 마티스
앙리 마티스(1869~1954)는 프랑스 3대 화가이자 20세기 최고의 화가 중 한 명이다. 최근 앙리 마티스 서거 70주년을 기념해 특별전시회 “LOVE &&...
홍지현 / 2023-10-16 / 681호 / 조회수:442
금리와물가,증시의관계
최근 뉴스나 신문에서 <美, 기준금리 0.25%P 또 올려…5.5% 16년 만에 최고 수준>, <물가·금리에 증시 제동…변동성 커지나> 등...
김시현 / 2023-09-18 / 680호 / 조회수:1982
초전도체란?
박세정 / 2023-08-21 / 678호 / 조회수:252
인공지능과 저작권 : 창작물 생성과 보호
인공지능은 인간의 학습, 추론, 지각 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기술이다. 현재 대부분의 인공지능은 업무 보조를 위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미래에는 스스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창의성을 요하는 작업에도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지식 창출이나 발명, 디자인 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창작물에...
임재민 / 2023-07-03 / 677호 / 조회수:258
리제 마이트너가 걸은 진정한 과학의 길
“새로 열린 에너지원이 평화적 목적으로만 이용되면 좋겠다. 나는 원자폭탄 제작이 실패하기를 희망하지만, 성공할 것 같다는 두려움이 있었다. 내 두려움은 들어맞았다.” 이 말을 남긴 사람은 오스트리아-스웨덴의 물리학자 ‘리제 마이트너’이다. 과학자 리제 마이트너는 지금과 달리 여성 ...
최윤지 / 2023-06-19 / 676호 / 조회수:319
렘브란트의 자화상
렘브란트는 17세기에 활동했던 네덜란드의 화가다.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임과 동시에 유럽 미술사를 대표하는 위대한 화가 중 한 사람으로 인정받는다. 렘브란트는 작품을 만들 때 의도적으로 빛과 어둠의 강한 대비를 만들어 능숙하게 사용해 ‘빛의 화가’라고도 불린다. 특히, 그는 빛을 조절해 정교한 구도를 만들고, 인...
최종호 / 2023-05-01 / 674호 / 조회수:522
정지된 에스컬레이터에서 걸으면 왜 어지러울까?
에스컬레이터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계단을 구동해 자동으로 위·아래층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계단 모양의 장치를 말한다. 우리는 지하철이나 백화점, 마트 등 주위에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층 사이를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런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다 보면 멈춰 있는 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김시현 / 2023-04-17 / 673호 / 조회수:1098
사막 위의 첨단도시, 네옴시티
사막 위의 첨단도시, 네옴시티 지난 11월 18일(금), 사우디아라비아 실권자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3년 만의 일본 방문 일정을 돌연 취소했다. 빈 살만 왕세자는 11월 16일(수) 한국을 방문해 윤석열 대통령과 회담하고, 26개 프로젝트와 관련된 300억 달러 규모의 업무 협약을 맺었다. 한국과의 회담 직후, 예정된 방일 일정이 취...
윤태훈 / 2022-12-05 / 668호 / 조회수:333
예금보호한도, 예금자들의 안전장치
예금보호한도, 예금자들의 안전장치 ▲11/15(화) 기준 국민은행과 기업은행의 적금상품 최근 우리나라에 고금리 시대가 도래하면서 주식보다는 예금, 적금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예금과 재테크를 합친 ‘예테크’라는 단어가 등장하고, 고금리 상품을 찾아다닌다는 뜻의 ‘금리...
류제형 / 2022-11-22 / 667호 / 조회수:378
‘영국 왕실의 역사’는 어떠했는가
‘영국 왕실의 역사’는 어떠했는가 지난 9월 8일(목)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이 향년 96세로 서거했다. 버킹엄궁은 스코틀랜드 밸모럴성에서 여왕이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시신은 버킹엄궁으로 옮겨져 가족들과 시간을 보낸 뒤 10일 후 국장을 치렀다. 웨스트민스터 사원...
이지윤 / 2022-11-08 / 666호 / 조회수:2224
기사 간단목록
(전체 26건)
[최율] 2024-11-05
그림 생성형 AI 잡는 창, 나이트셰이드
[김종현] 2024-06-24
수소에너지에도 종류가 있다
[이준석] 2024-04-29
최후의 대책 ‘지구공학’
[김서진] 2024-01-08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변화, 3D와 2E
[박율] 2023-12-04
강세·약세? 평가절상·평가절하? 환율에 관하여
[홍지현] 2023-10-16
색채 미술의 대가, 앙리 마티스
[김시현] 2023-09-18
금리와물가,증시의관계
[박세정] 2023-08-21
초전도체란?
[임재민] 2023-07-03
인공지능과 저작권 : 창작물 생성과 보호
[최윤지] 2023-06-19
리제 마이트너가 걸은 진정한 과학의 길
[최종호] 2023-05-01
렘브란트의 자화상
[김시현] 2023-04-17
정지된 에스컬레이터에서 걸으면 왜 어지러울까?
[윤태훈] 2022-12-05
사막 위의 첨단도시, 네옴시티
[류제형] 2022-11-22
예금보호한도, 예금자들의 안전장치
[이지윤] 2022-11-08
‘영국 왕실의 역사’는 어떠했는가
맨앞 페이지
이전 페이지
1
2
다음 페이지
맨뒤 페이지
주요인기뉴스
노원 유나이티드, 주민들과 함께 그리는 K리그의 꿈
대학가, 비상계엄 선포에 분노… 퇴진 요구 목소리 높여
원-달러 환율 1,500원 넘나… 경제·관광 위기 촉발
노원구 눈썰매장
새로운 세대와 미래의 민주주의
네컷만화
독자퀴즈
호두까기 인형과 함께한 연말
학보사가 내게 알려준 것
진실이 불타는 온도,화씨911
노원구 눈썰매장
대통령 탄핵의 정의와 역사
"성평등, 우리가 원하는 세상은 어떤 모습인가?"
신문사 소개
l
창작상
l
방송국 홈페이지
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l
개인정보처리방침
l
이메일무단수집거부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김동환 I 편집장: 김민수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