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과연 테이퍼링으로 경제 심폐소생술을 기대할 수 있는가
권민주 ㅣ 기사 승인 2021-09-13 14  |  649호 ㅣ 조회수 : 429

과연 테이퍼링으로 경제 심폐소생술을 기대할 수 있는가



  최근 경제 뉴스를 보면 ‘테이퍼링(tapering)’이라는 용어를 자주 볼 수 있다. ‘테이퍼링’은 정부가 취했던 양적 완화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 나가는 방식으로, 현실에 닥친 경제 위기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테이퍼링의 사전적 의미는 초저금리 상태에서 경기 부양을 위해 중앙은행이 정부의 국채나 여타 다양한 금융자산의 매입으로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던 양적완화 정책을 점차 축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2013년 5월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처음 언급한 용어다. 이는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해 양적완화를 진행할 때 경기가 회복세에 진입하게 되면 과도하게 풀린 유동성이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출구전략으로 시장에 풀린 유동성을 다시 회수하는 것이 테이퍼링인 것이다.



  테이퍼링의 도입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미국의 사례를 들 수 있다. 미국은 2008년 9월 리먼브라더스(1850년에 설립된 국제 금융 주식회사) 파산에 따른 금융위기 이후 큰 경기 후퇴를 겪게 되는데 이를 대침체라고 일컫는다.



  이에 미국 중앙은행인 미국 연방 준비제도(이하 미연준)는 대침체에 빠진 미국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서 정책금리를 거의 영(zero)에 가깝게 통화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경기진작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국채 및 MBS(주택저당증권을 줄임말로 자산유동화증권의 일종으로써 모기지 또는 주택담보대출을 기초자산으로 발행되는 증권)를 직접 매입해 대차대조표를 확대함으로써 장기금리를 낮추려는 정책을 시행했다.



  2013년 5월 당시 벤 버냉키 미연준 의장이 의회 증언에서 “경제 여건 등을 고려해 향후 중앙은행이 자산매입 규모를 축소할 수 있다”라는 의견을 밝혔는데, 이후 자산매입 규모를 점차 줄여가는 정책을 ‘양적완화 축소’ 또는 ‘테이퍼링’이라고 부르고 있다.



  당시 양적완화 축소를 실시할 수 있다는 발언이 발표되자, 미국뿐만 아니라 자본 유출이 우려되는 신흥국에서도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고 주가가 하락하는 등 금융시장이 상당히 불안해졌는데 그것을 테이퍼 텐트럼(taper tantrum)이라고 한다. 실제 양적완화 축소는 2014년부터 시작됐으며 자산매입 프로그램은 2014년 10월부터 중단됐다.



  테이퍼링은 자산매입 규모는 점차 줄어들지만 미연준의 대차대조표(상인의 영업상의 재산 및 손익의 상황을 명백히 하기 위해 상법이 작성을 요구하는 상업 장부)는 계속 확대된다는 측면에서, 대차대조표 자체가 축소되는 ‘대차대조표 정상화 프로그램’과 구별된다.



  한편 미연준은 2017년 10월부터 양적완화 정책으로 4.5조 달러 수준까지 확대했던 보유자산 규모를 보유채권의 만기도래 시 원금상환액의 일부를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축소해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테이퍼링에 대한 정책 시행이 짙어지고 있는 가운데 테이퍼링이 가져올 또 다른 경제 위기 상황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테이퍼링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시중에 돌던 자금이 다시 미국으로 회수되는 상황이 나타나는데, 이는 세계 시장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다른 말로 하자면 세계 시장에 나눠져 있던 자금이 다시 미국으로 회수되며 신흥국가는 경제적으로 위기에 처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링이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투자자들은 금리인상을 예상해 자산을 매각하게 된다. 그러면서 신흥국에 투자했던 자금들이 빠져나가면서 통화가치가 급락하며 경제 위기가 올 수 있다.



  증권시장 역시 테이퍼링 시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앞에서 언급했던 실제 사례지만 2013년 미연준 의장이 2008~2009년 사이 미국 금융위기 때문에 시행했던 양적완화 정책에 대해 테이퍼링을 언급한 후 시장은 폭락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최근 미국 미연준(Fed) 파월 의장이 잭슨홀 연설에서 “월 1200억 달러의 자산 매입 속도를 올해 줄이는 게 적절할 수 있다. 하지만 테이퍼링이 금리 인상 신호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며 기준 금리를 올리는 것은 테이퍼링과 기준 자체가 다르고 훨씬 엄격한 과정을 거치게 될 것이라는 말을 전하며 테이퍼링에 대해 가져오는 불안감을 덜고자 하는 노력을 보였다.



  연내 테이퍼링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는 만큼 테이퍼링 시행으로 앞으로 변화하게 될 우리의 경제생활에 대해 깊게 고찰해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


기사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쓰기 I 통합정보시스템, 구글, 네이버, 페이스북으로 로그인 하여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확인
욕설, 인신공격성 글은 삭제합니다.
2025회계연도 대학회계 제1차 추가경정예산서 총괄표
사진투고_내 곽곽이가 제일 귀여워!
여기어때_론 뮤익
2024회계연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회계 결산 총괄표
704_이주의한컷 - 학생복지위원회 'Buddy Box'
704_곽곽네컷 - 오늘은 분명 더울거야!
704_독자퀴즈
곽대인을 만나다_묵묵히 캠퍼스를 지키는 경비원 김성희 씨와의 인터뷰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김동환 I 편집장: 김민수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