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놀라운 2025년
김민수 ㅣ 기사 승인 2025-02-17 15  |  700호 ㅣ 조회수 : 81


편집장

 며칠 전, 새해 인사를 전하지 못했던 선배에게 뒤늦게 메시지를 보냈다. 명절이 오면 보내는 인사말은 항상 비슷하지만, “새해 복 많이 받아라”, “휴가 동안 잘 쉬고 보자”와 같은 말에 거짓은 없을 것이다. 특히 새해를 맞이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보내는 인사는 지난 일 년을 돌아보게 한다. 그런데 이번엔 처음 받아보는 인사말이 있었다.



 “너도 놀라운 한 해 되렴!” 대학생들 사이 그리 흔한 표현은 아닐 것이다. ‘~하렴’이 주로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조언하거나 권유할 때 사용하는 표현이어서다. 그런데 그 메시지를 한참 동안 들여다본 이유는 ‘놀라운’이라는 단어 때문이었다.



 ‘놀라운’에는 세 가지 뜻이 따른다. ⑴감동을 일으킬 만큼 훌륭하거나 굉장하다, ⑵갑작스러워 두렵거나 흥분 상태에 있다, ⑶어처구니 없을 만큼 괴이하다. 이 세 가지 뜻 중 첫 번째 뜻의 ‘놀라운’을 사용한지는 오래되었다. 감동을 받아 “놀라워!”라고 표현하는 일은 나뿐만 아니라 다른 이에게도 살면서 손에 꼽을 것 같다.



 그만큼 나에겐 ‘훌륭해’, ‘굉장해’와 같은 표현도 낯설다. 칭찬이 박한 부모님에게 자라서인지 나 스스로 긍정적인 표현이 쉽지 않다. 나 자신과 타인에게 관대하지 않은 날이 많았다. 늘 당근보단 채찍이 효과적인 동기부여라고 여기지만, 선배의 다정한 인사 한마디에 마음이 움직인 걸 보면 당근은 항상 필요하다. 친구와 가볍게 떠난 여행에서도 서로의 행동에 원칙만을 내세운다면 즐거웠던 시작의 여행이 되돌아보고 싶지 않은 여행으로 남겨질 수 있다. 타인에게도, 나 자신에게도 더 관대해지자.



 1년의 편집장 생활을 하며 목표가 여러 번 바뀌었다. 처음엔 그저 조직의 관리자 역할만을 해내자는 것이었고, 다음엔 더 좋은 내용으로 구성됐으면, 또 다음엔 여러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싶었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팀원들도 바쁜 일정에 여러 번 목표가 바뀌었을 거 같다. 매 호 신문을 발행하고 숨 돌릴 새도 없이 다음 호를 준비하며 최선을 다한 글 기자들에게, 읽기 좋은 신문을 위해 예쁜 디자인을 구현해준 디자인 기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드린다. 모두에게 놀라운 한 해가 되길!


기사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쓰기 I 통합정보시스템, 구글, 네이버, 페이스북으로 로그인 하여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확인
욕설, 인신공격성 글은 삭제합니다.
2025학년도 1학기 신문방송사 수습기자 모집
2025회계연도 대학회계 본예산서 총괄표
2024회계연도 대학회계 제3차 추가경정예산서 총괄표
2025학년도 우리대학 연간 학사 일정
망한 시간표 대회
701호 곽곽네컷
우리대학 캠퍼스 가이드
서울과기대 신문방송사, 얼마나 알고 있나요?
곽곽이에게 물어봐!
2025 교내 중앙자치기구 소개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김동환 I 편집장: 김민수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