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9호 최종편집 : 2022.5.9 월 00:00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전체메뉴
HOME
|
창작상
|
대표 홈페이지
축사
보도
기획
사회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영문PDF
l
호별기사
l
LOGIN
축사
보도
기획
사회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카드뉴스
예술상
전체
수상작 소개
기사 상세목록
(전체 6건)
영화. 문학 평론_인식의 직선과 곡선의 교점은 사랑의 점
인식의 직선과 곡선의 교점은 사랑의 점 17101741 김정빈 가능은 질문의 중앙이며 불가능은 질문의 주변이다. 질문은 문제에 대한 답을 얻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전제를 포함한다. 이 때, 방향으로써의 질문은 중앙과 주변이라는 두 가지의 상태로 존재한다. 질문의 중앙은 살아있음을 뜻한다. 살아있다는 것은 운동성을 내포하며 이는...
/ 2021-12-05 / 653호 / 조회수:277
영어에세이_How to spend our time meaningfully
How to spend our time meaningfully 21100646 Park Seoyeon There is a thing, which goes only one way ahead and never stops. It is given to all of us the sam...
/ 2021-12-05 / 653호 / 조회수:504
소설_슈당이 나라를 구했다!
슈당이 나라를 구했다! 1 슈당이 나라를 구했다! 현실과 온라인을 가리지 않고 어디서든 듣고 볼 수 있는 표어였다. 나라만 구했으랴, 사실 세계를 구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슈당에 대한 온갖 가십성 기사들은 국내 언론과 외신을 가리지 않고 매 순간 쏟아졌다. 슈당은 누구인가. 슈당은 몇 살인가. 슈당은 누구와 열...
/ 2021-12-05 / 653호 / 조회수:211
소설_인터미션이 끝나는 순간
인터미션이 끝나는 순간 _dadalife_000_님이 팔로우를 요청했습니다. 13:40 시현은 다다라이프의 프로필을 클릭했다. 익숙하면서 생경한 이름. 그 애였다. 잠시 잊고 있던 중학교 시절을 떠올려버렸다. 가장 먼저 생각난 것은 그 애가 주로 짓던 표정. 그리고 차례대로 아이들의 말투, 웃음소리,...
/ 2021-12-05 / 653호 / 조회수:166
소설_봄을 기다리며
봄을 기다리며 모모코가 박 씨를 따라 처음 조선에 온 날, 항구에 함박눈이 내렸다. 모모코의 고향인 홋카이도 삿포로에서 그랬던 것처럼 부산의 항구에도 많은 눈이 쌓여있었다. 부산에는 눈이 잘 오지 않지만, 예외적으로 그해에는 부산에 많은 눈이 내렸다. 항구 앞 가게에 여기저기 눈을 치우는 사람들이 보였다. 항구가 얼어붙을 정도로 추운 날씨였지...
/ 2021-12-05 / 653호 / 조회수:127
제 26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어의문화예술상 수상작 소개
소설 최우수 ▲ 장지영(문창 ・ 17) 안녕하세요. 문예창작학과 17학번 장지영입니다. 먼저 제 글의 출발점인 재한일본인 처 할머님들께 감사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유려한 문장과 엄청난 서사구조를 쓰는 작가가 아닙니다. 그저 길에 다니는 인생을 기록으로 고쳐 소설로 쓰고자 한 작가입니다. 때문에, 제 글의 주인은 ...
/ 2021-12-05 / 653호 / 조회수:215
기사 간단목록
(전체 6건)
[ ] 2021-12-05
영화. 문학 평론_인식의 직선과 곡선의 교점은 사랑의 점
[ ] 2021-12-05
영어에세이_How to spend our time meaningfully
[ ] 2021-12-05
소설_슈당이 나라를 구했다!
[ ] 2021-12-05
소설_인터미션이 끝나는 순간
[ ] 2021-12-05
소설_봄을 기다리며
[ ] 2021-12-05
제 26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어의문화예술상 수상작 소개
1
주요인기뉴스
3년만에 돌아온 대면 어의체전
대학 내 언론자유 실현을 위한 국회 토론회 성료
2022학년도 독서 커뮤니티 ‘북뿜뿜’ 모집
우리대학과 지역사회의 매개, 노원 공공미술
민주화를 꽃 피우기 위해 싸웠던, 1980년의 봄
디자인팀 수습부원 환영합니다!
2022년도 후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신·편입생 모집
659호 곽민정음
659호 세상세상 곽지경
659호 시시비비
659호 독자퀴즈
659호 네컷만화
659호 궁금해요
꿀벌 연쇄 실종 사건
신문사 소개
l
창작상
l
방송국 홈페이지
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l
개인정보처리방침
l
이메일무단수집거부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김종호 I 편집장: 김선웅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