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5호 최종편집 : 2025.7.14 월 00:00
구독신청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전체메뉴
HOME
|
창작상
|
대표 홈페이지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지역보도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영자신문사
l
호별기사
l
LOGIN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지역보도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642호] 기사 목록
서울과기대 신문사 > 호별기사
기사 상세목록
(전체 28건)
642호 곽곽네컷
박하나 / 2021-03-14 / 642호 / 조회수:649
642호 궁금해요
/ 2021-03-14 / 642호 / 조회수:484
기나긴 터널도 언젠가는 끝나기 마련
기나긴 터널도 언젠가는 끝나기 마련 류제형(경영·18) 2021년 새 학기가 밝았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도 학우들 모두가 동기들의 얼굴을 보기가 쉽지 않다. 2020년 1월 20일(수) 우리나라에 최초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어느덧 이렇게 1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세계 각지에 이어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1...
류제형 / 2021-03-14 / 642호 / 조회수:886
642호 곽곽이모여라
/ 2021-03-14 / 642호 / 조회수:607
어린왕자
어린 왕자 박상준(산공·19) 필자는 아주 어린 시절부터 책을 읽어왔는데, 대부분은 소설이었다. 어려서 마냥 책 읽는 자체가 좋았던 시절에는 그 소설을 읽고, 주인공에게 반해서 항상 주인공의 입장에 몰입해 이야기를 즐겼던 기억이 있다. 하지만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를 읽으면서 주인공 중심의 서사에 관한 회의감이 들었던 것...
/ 2021-03-14 / 642호 / 조회수:720
동북아 문화 전쟁
동북아 문화 전쟁 3월이다. 백신 접종은 순조롭다고 하지만 개학을 맞이한 아이는 여전히 컴퓨터 앞에서 수업을 듣고 있다. 중국어 수업. ‘글로벌 시대, 중학생도 제2외국어를 배우는구나’ 한문 교과를 대신해 일본어나 중국어를 배우는 중학생이 늘어났다. ‘한자를 배우고 일어나 중국어를 배우면 훨씬 쉬울텐데&hell...
/ 2021-03-14 / 642호 / 조회수:630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 화면 속, 미디어와 정책을 생각하다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 화면 속, 미디어와 정책을 생각하다 우리는 급변하는 미디어 세계 속에 살고 있다. 일상을 지내며 나도 모르게 기사를 읽고, 광고를 보고, 수많은 매체와 연결된다. 우리가 보는 미디어가 있기까지 화면 저편에선 수많은 고려와 합의가 진행된다. 기자부터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 위원까지 매체 저편에서 자신의 길을 걸...
권민주, 조유빈 / 2021-03-14 / 642호 / 조회수:827
642호 대학알리미
제 56회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응모 기간: 5월 1일(토)~6월 30일(수) 응모 부문: 제품 디자인 외 6개 부문 응모 자격: 제한 없음 시상: 1등 시상금 30,000,000원 관련 사이트: https://award.kidp.or.kr/ 제5회 소비자지향성 개선과제 공모전 응모 기간: ~5월 30일(일) 응모 자격: 제한 없음 응모 주제: 소비...
김태연 / 2021-03-14 / 642호 / 조회수:789
수학 튜터실
▲김건우 교수 수학 튜터실 응용수학 분야를 담당하는 기초교육학부 소속 김건우 교수를 만났다. 기초교육학부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부생들의 교양교육을 담당하는 학부다. 공통 필수 기초 교양, 영역별 핵심교양, MSC관련 강좌를 개설하고 운영한다. 기초교육학부의 여러 교수는 학부생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제도들을 운영하고 있다. 이중 튜...
윤태훈 / 2021-03-14 / 642호 / 조회수:1020
공무원 시험의 현재와 미래
공무원 시험의 현재와 미래 7급 공무원 시험, 이렇게 변한다 올해부터 국가직 7급 공무원 공개능력 채용시험에 ‘피셋(PSAT)’이 도입된다. 피셋(PSAT)이란 공직 적격성 평가시험(Public Service Aptitude Test)의 줄임말로, 종합적 사고력을 기반으로 직무수행역량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이 시험은...
류제형 / 2021-03-14 / 642호 / 조회수:1293
확률형 아이템, 오락인가 도박인가
확률형 아이템, 오락인가 도박인가 온라인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 이 사행성을 조장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확률형 아이템이란 게임 내 캐릭터나 무기 등을 이용자에게 ‘뽑기’ 형식으로 판매하는 아이템을 말한다. 이는 한국 게임회사들의 핵심 수익 모델로 업계에선 확률형 아이템 같은 수익모델이 자리를 잡...
김태연 / 2021-03-14 / 642호 / 조회수:697
잔혹한 동물학대, 이 사회엔 조치가 시급하다
잔혹한 동물학대, 이 사회엔 조치가 시급하다 SNS 뒤에 숨은 범죄자들 최근 들어 동물학대 범죄가 언론에 많이 보도되고 있다. 개나 고양이 등의 동물을 향한 무자비한 폭력은 예전부터 있어왔지만,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동물학대 범죄는 SNS를 이용한다는 차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SNS의 발달로 익명성이 보장되고 인터넷 상 관계 맺기...
조유빈 / 2021-03-14 / 642호 / 조회수:758
작품 『햄릿』을 둘러싼 논쟁
작품 『햄릿』을 둘러싼 논쟁 “To be or not to be(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라는 명대사로 우리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온 『햄릿』을 알고 있는가? 이는 연극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가장 대중적이라 손꼽을 수 있다. 이런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감상하기 전, 그와 관련해 들려오는 흥미로운 논란을 알아보고, ...
권민주 / 2021-03-14 / 642호 / 조회수:1603
국산만화의 전성기를 고대하며
국산만화의 전성기를 고대하며 어린 시절 누구나 오매불망 기다렸던 만화영화 한 편쯤은 있을 것이다. 만화영화는 설렘과 희망, 그리고 추억을 회상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장르이다. <아기공룡 둘리>, <학교 괴담>, <이누야샤>, <학원 앨리스>, <포켓몬>, <명탐정 코난> 등등 심금을 울렸던 ...
권민주, 장수연 / 2021-03-14 / 642호 / 조회수:1651
미디어 아트의 현주소
▲‘Dynamic Seoul/서울 미디어 아트의 현주소 지난 1월 우리대학 홍보 미디어 영상이 삼성동 코엑스 인근에 설치된 옥외 광고판을 장식했다. 여기에 사용된 미디어 영상들은 광고인 동시에 공공 미술 작품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기도 하다. 미디어아트라고 통칭되는 이 작품들은 오늘날 도심 갤러리, 문화 행사에서 흔하게 사용되면서 도...
윤태훈, 장수연 / 2021-03-14 / 642호 / 조회수:1949
기사 간단목록
(전체 28건)
[박하나] 2021-03-14
642호 곽곽네컷
[ ] 2021-03-14
642호 궁금해요
[류제형] 2021-03-14
기나긴 터널도 언젠가는 끝나기 마련
[ ] 2021-03-14
642호 곽곽이모여라
[ ] 2021-03-14
어린왕자
[ ] 2021-03-14
동북아 문화 전쟁
[권민주, 조유빈] 2021-03-14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 화면 속, 미디어와 정책을 생각하다
[김태연] 2021-03-14
642호 대학알리미
[윤태훈] 2021-03-14
수학 튜터실
[류제형] 2021-03-14
공무원 시험의 현재와 미래
[김태연] 2021-03-14
확률형 아이템, 오락인가 도박인가
[조유빈] 2021-03-14
잔혹한 동물학대, 이 사회엔 조치가 시급하다
[권민주] 2021-03-14
작품 『햄릿』을 둘러싼 논쟁
[권민주, 장수연] 2021-03-14
국산만화의 전성기를 고대하며
[윤태훈, 장수연] 2021-03-14
미디어 아트의 현주소
맨앞 페이지
이전 페이지
1
2
다음 페이지
맨뒤 페이지
주요인기뉴스
"다빈치도 퀴어였어?", 교내 포스터로 존재 드러낸 퀴어 동아리 큐민
우리는 왜 글을 적는가
전임교원 확보율 꾸준히 상승... 여전히 평균엔 못 미쳐
전과, 낮선 길 위에서 나를 만나다
영화관, 보는 즐거움에서 하는 즐거움으로
제705호 독자퀴즈
제705호 곽곽네컷 - 분명 이번 장마는 길댔는데..?
광고 - 2025학년도 2학기 기숙사생 선발
광고 - 2025학년도 ST 커리어박람회
2025회계연도 대학회계 제1차 추가경정예산서 총괄표
우리대학의 교수 임용 과정
여름방학, 비워진 강의실
<안녕, 용문객잔>
한적함 속의 온기와 정
신문사 소개
l
창작상
l
방송국 홈페이지
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l
개인정보처리방침
l
이메일무단수집거부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김동환 I 편집장: 김민수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