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3호 최종편집 : 2023.12.4 월 00:00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전체메뉴
HOME
|
창작상
|
대표 홈페이지
예술상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영문PDF
l
호별기사
l
LOGIN
예술상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671호] 기사 목록
서울과기대 신문사 > 호별기사
기사 상세목록
(전체 22건)
671호 네컷만화
이의린 / 2023-03-13 / 671호 / 조회수:274
671호 독자퀴즈
null / 2023-03-13 / 671호 / 조회수:143
671호 궁금해요
null / 2023-03-13 / 671호 / 조회수:133
문학은 어떻게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가
문학은 어떻게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가 최종호 (전정·19) 우리가 사는 21세기는 분명 과학의 시대이다. 어떤 질문에 대해 이곳저곳에서 아무리 많은 말이 쏟아져도 진짜 답을 말하는 것은 늘 과학자의 몫이라고 현대인들은 생각한다. 하지만 동시에 온갖 동서고금의 드라마와 영화들로 가득 찬 OTT산업의 시장규모도 걷잡을 ...
최종호 / 2023-03-13 / 671호 / 조회수:186
챗GPT가 가리키는 달을 보라
챗GPT가 가리키는 달을 보라 박동오 (사회정보학박사, 기술정책자문) 견지망월(見指忘月)이라는 말이 있다. 달을 보라고 손가락으로 가리켰더니 손가락만 본다는 고사성어다. 아마 누구라도 지난 몇달간 챗GPT라는 단어를 한번도 듣지 않고 지나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불과 3개월 전 등장한 챗GPT는 전세계적인 인공지능(AI)에 대...
박동오 / 2023-03-13 / 671호 / 조회수:418
인공지능 시대에 걸맞은 교육과정 고민해야
인공지능 시대에 걸맞은 교육과정 고민해야 ‘인공지능 시대’에 들어섰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한 것은 이미 여러 해 전의 일이다. 인간의 인지능력을 모사(模寫)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오래전에 시작되었지만, 대개 그 성능이 보잘것없었다. 그러던 것이 2010년대 이후 갑자기 쉽사리 무시할 수 없는 인공지...
양정현 / 2023-03-13 / 671호 / 조회수:166
인격과 도구 사이의 글쓰기
인격과 도구 사이의 글쓰기 양정현 (교양대학, ‘논리적글쓰기’ 담당교수) 지금도 챗GPT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수많은 뉴스가 갱신되고 있다. 챗GPT를 다룬 글의 수명이 얼마나 될지 또한 쉽게 장담할 수 없다. 챗GPT의 미래를 다루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대신 과거를 살펴본다. &n...
양정현 / 2023-03-13 / 671호 / 조회수:148
도넛으로 세상을 밝히다.
김재용 도예학과 교수는 전세계의 미술계에서 도넛 작가로 유명하며, 현재 한국에서도 작품의 인기와 인지도가 굉장히 높은 현대미술 작가다. 22년 12월, 김재용 교수는 대표 작품 2점(총 1억 7천 9백만원)을 우리대학에 기증했다. 본지는 어떤 작품이 어떻게 기증됐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김재용 교수를 직접 만나 얘기를 들...
서나연, 최윤지 / 2023-03-13 / 671호 / 조회수:457
대한민국에서 기름이 뿜어져 나온다면
대한민국에서 기름이 뿜어져 나온다면 기름 한 방울 나오지 않는 나라 대한민국에서 엄청난 양의 자원이 매장된 유전이 발견됐다는 뉴스를 보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국가의 경제 시스템은 뒤바뀔 것이고 기업들은 모두 달려들어 투자를 시작할 것이다. 그리고 국민은 자신들의 살림살이가 나아질 것 같은 왠지 모를 기대감에 휩싸여 다들 신이 날...
최종호 / 2023-03-13 / 671호 / 조회수:290
지하철 운행 적자와 노인 무임승차… 해결 방안은?
지하철 운행 적자와 노인 무임승차… 해결 방안은? 뜨거운 감자, 노인 무임승차 지난 몇 년간 사회적 논란을 증폭시켜온 65세 이상 노인의 지하철 무임승차(이하 노인 무임승차)는 최근 오세훈 시장이 서울 지하철 적자의 원인으로 지목하면서 뜨거운 화두로 올랐다. 지난 1월 30일(월)에 있었던 신년 기자 간담회에서 오세훈 서울 시...
박세정 / 2023-03-13 / 671호 / 조회수:1119
원하는 DNA 싹둑, 세상을 바꿀 ‘유전자 가위’
원하는 DNA 싹둑, 세상을 바꿀 ‘유전자 가위’ 유전자 가위란 무엇일까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사용자가 원하는 DNA 염기서열을 골라서 잘라내는 기술이다. 이는 정확도가 99%에 달하는 기술로, 자르고 싶은 염기서열과 결합하는 RNA를 빠르고 저렴하게 합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체가 자신...
최윤지 / 2023-03-13 / 671호 / 조회수:3239
현실로 다가온 문제, 인구 절벽
한국은 2020년 OECD뿐만 아니라 세계 252국 중 합계출산율이 최초로 0.8명대에 진입했는데, 불과 2년여만에 0.7명대라는 불명예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최근 ‘2022년 인구 동향’ 조사를 통한 출산율 결과가 무려 0.78명이라는 기록적인 수치로 매년 최저 신기록을 달성하며 인구 절벽의 문제가 지금 당장 우리에게 ...
김도현 / 2023-03-13 / 671호 / 조회수:226
챗GPT의 침공 혹은 등장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최근 대화형 AI 기술인 챗 GPT가 주목을 받고 있다. 챗 GPT는 OpenAI에서 개발한 인공신경망 모델로, 인간처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기술을 지니고 있어 인공지능 분야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챗 GPT가 인공지능 시장에서 큰 파장을 일으키며 기업들이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는 가운...
오경은 / 2023-03-13 / 671호 / 조회수:280
다양한 장학금 제도, 대학원 진학의 든든한 밑거름
초저출산 시대, 출생아들의 대학원 진학이 시작되는 2025년 전후로 이공계 대학원의 입학자 수 감소세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발표됐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공계 신규 인력 감소에 대비해 지금보다 효과적인 교육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분석한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이 내놓은 보고서에 따...
김도현 / 2023-03-13 / 671호 / 조회수:216
2023 예비·초기 창업패키지 주관기관으로 선정
창업지원단이 ‘2023년 예비창업패키지 및 초기창업패키지 주관기관’(이하 예비·초기 창업패키지 사업)으로 선정됐다. 예비·초기창업패키지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총괄하고 창업진흥원이 전담하며 총 4년, 180억 규모로 운영된다. 이로써 우리대학은 ‘2021년 예비창업패키지 최우수 기관&rsq...
오경은 / 2023-03-13 / 671호 / 조회수:147
기사 간단목록
(전체 22건)
[이의린] 2023-03-13
671호 네컷만화
[null] 2023-03-13
671호 독자퀴즈
[null] 2023-03-13
671호 궁금해요
[최종호] 2023-03-13
문학은 어떻게 우리를 자유롭게 하는가
[박동오] 2023-03-13
챗GPT가 가리키는 달을 보라
[양정현] 2023-03-13
인공지능 시대에 걸맞은 교육과정 고민해야
[양정현] 2023-03-13
인격과 도구 사이의 글쓰기
[서나연, 최윤지] 2023-03-13
도넛으로 세상을 밝히다.
[최종호] 2023-03-13
대한민국에서 기름이 뿜어져 나온다면
[박세정] 2023-03-13
지하철 운행 적자와 노인 무임승차… 해결 방안은?
[최윤지] 2023-03-13
원하는 DNA 싹둑, 세상을 바꿀 ‘유전자 가위’
[김도현] 2023-03-13
현실로 다가온 문제, 인구 절벽
[오경은] 2023-03-13
챗GPT의 침공 혹은 등장
[김도현] 2023-03-13
다양한 장학금 제도, 대학원 진학의 든든한 밑거름
[오경은] 2023-03-13
2023 예비·초기 창업패키지 주관기관으로 선정
1
2
주요인기뉴스
선거 무산, 선관위와 선본의 이야기를 듣다
제 28회 어의문화예술상
영상_외출(서찬우_전자IT미디어공학과_18101492)
혹시 나도 도파민 중독? ‘숏폼’ 이용 주의해야
‘투표 무산’이 던지는 메시지
이주의 한컷 : 따뜻한 나눔
강세·약세? 평가절상·평가절하? 환율에 관하여
추천도서_『저주토끼』, 정보라
신문사 소개
l
창작상
l
방송국 홈페이지
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l
개인정보처리방침
l
이메일무단수집거부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이동훈 I 편집장: 류제형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