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9호 최종편집 : 2025.1.6 월 00:00
구독신청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전체메뉴
HOME
|
창작상
|
대표 홈페이지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지역보도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영자신문사
l
호별기사
l
LOGIN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지역보도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676호] 기사 목록
서울과기대 신문사 > 호별기사
기사 상세목록
(전체 29건)
676호 네컷만화
이의린 / 2023-06-19 / 676호 / 조회수:235
676호 독자퀴즈
/ 2023-06-19 / 676호 / 조회수:213
676호 궁금해요
/ 2023-06-19 / 676호 / 조회수:205
리제 마이트너가 걸은 진정한 과학의 길
“새로 열린 에너지원이 평화적 목적으로만 이용되면 좋겠다. 나는 원자폭탄 제작이 실패하기를 희망하지만, 성공할 것 같다는 두려움이 있었다. 내 두려움은 들어맞았다.” 이 말을 남긴 사람은 오스트리아-스웨덴의 물리학자 ‘리제 마이트너’이다. 과학자 리제 마이트너는 지금과 달리 여성 ...
최윤지 / 2023-06-19 / 676호 / 조회수:327
현대판 조리돌림과 멍석말이
1961년 5·16 군사정변 직후의 일이다. 이정재를 포함한 자유당 시절의 깡패들에게 조리돌림이라는 형벌이 내려졌다. 그들은 “나는 깡패입니다, 국민의 심판을 받겠습니다”라는 현수막을 들고 다니며 거리를 행진했다. 조리돌림은 가해자에게 물리적인 피해를 입히지 않지만, 수치심을 느끼게 함으로써 정서적 피해를 안긴다...
심재민 / 2023-06-19 / 676호 / 조회수:417
오염수 방류, 과학적 합리성에 바탕을 둔 의사결정 체계를 고민해야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가 임박하면서 이를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지방에서 발생한 진도 9.0의 지진으로 거대한 쓰나미가 발생했고, 밀려든 바닷물은 후쿠시마 제1원전의 냉각 시스템을 무력화했다. 결국 과열된 원자로 내부에서 핵연료가 녹아내려 폭발이 발생했다. 이후 사고를 복구하는 과...
/ 2023-06-19 / 676호 / 조회수:166
‘값비싼 새마을호’, KTX
박세정 (전정·22) 기자의 본 고향은 광주광역시다. 그래서 광주와 서울을 KTX로 오가곤 한다. 버스를 이용하면 평균 4시간이 걸리지만 KTX를 이용하면 1시간 40분 정도 소요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요즘 KTX 소요시간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처음 호남선 KTX를 개통했을 때, 서울에서 광주까지 가장 빠른 열차는 1시...
박세정 / 2023-06-19 / 676호 / 조회수:203
디지털 기술 사회의 이면을 성찰하다
『피지털 커먼즈』, 『디지털 폭식 사회』, 『디지털의 배신』의 저자이자 우리대학 IT정책전문대학원의 디지털문화정책학과 교수인 이광석 교수를 만나봤다. 그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이 가지는 문제가 무엇인지, 또 그런 문제들에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대항할 수 있는지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Q. 간략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박세정, 장수연 / 2023-06-19 / 676호 / 조회수:608
“AI의 창작물을 반대합니다”, AI 보이콧
인간과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웹툰을 놓고 충돌했다. AI 기술을 활용한 웹툰에 무더기로 낮은 평점이 매겨지고, AI가 그린 웹툰을 거부하겠다는 글들이 플랫폼에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AI 창작물의 저작권은 물론 손으로 직접 그림을 그리지 않아도 ‘웹툰 작가’로 부를 수 있을지의 문제 등을 놓고 사회적 논의가 불거지...
홍지현 / 2023-06-19 / 676호 / 조회수:4220
피의자 신상 공개제도의 딜레마
▲부산 돌려차기 사건 가해자의 인스타그램 게시물에 게재된 댓글(재구성) 대중이 피의자 신상을 공개하는 시대 흉악범의 신상을 공개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지면서 우리나라 신상 공개제도에 대해 답답함을 토로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 보니 시민들이 범죄자들의 신상을 직접 공개하는 일도 많아지고 있다. 최근 ‘부산 돌려차기 사...
최윤지 / 2023-06-19 / 676호 / 조회수:3418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새로운 우주 시대를 열다
지난 5월 25일(목), 전남 고흥에 위치한 나로우주센터에서 진행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이하 누리호) 3차 발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기존 1차, 2차 시험 발사와는 달리 실용 발사 성공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컸으며, 나아가 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이 대한민국 우주산업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많은 이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독자적 ...
남건우 / 2023-06-19 / 676호 / 조회수:196
인어공주, 재탄생의 향연
▲영화 <인어공주> 포스터 지난 5월 24일(수) 한국에서 전 세계 최초로 개봉한 디즈니 실사영화 <인어공주>가 6월 3일(화) 기준 약 53만 4,367명의 관객을 모았다. 기대작이 개봉 2주 차에 거둔 성적으로 보기에는 아쉬운 성적이다. 특히 전 주에 개봉한 <분노의 질주: 라이드 오어 다이>가 같은 ...
임재민 / 2023-06-19 / 676호 / 조회수:277
일본 문화, 한국 곳곳을 흔들다
▲한국에서 흥행한 일본 영화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해도>의 포스터 현재 20·30세대는 어릴 적 스마트폰이 부재해 하교 후 TV에서 방영해주는 애니메이션을 시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수많은 애니메이션 중 인기가 많던 작품들은 일본에서 제작해 국내에 들어온 것이 대부분일 정도로 일본 제작 애니메이션은...
오경은, 서나연 / 2023-06-19 / 676호 / 조회수:785
모두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질서
전동 킥보드는 바쁜 아침 우리가 지각을 하지 않게 도와주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애매한 곳을 편리하게 이동하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주차 구역을 벗어나 난립한 킥보드를 보면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다. 모두의 편의를 위해 질서있는 사용이 필요하다. 김시현 기자
김시현 / 2023-06-19 / 676호 / 조회수:210
대한민국 U-20 대표팀 2연속 4강 진출
▲이탈리아와의 준결승전에 선발 출전한 남자 U-20 대표팀 선수단의 모습 (사진 : 대한축구협회) 2023년 5월 21일(일)부터 6월 12일(월)까지 FIFA에서 주관하는 FIFA U-20 월드컵(이하 U-20)이 진행됐다. U-20은 연 나이로 20세 이하의 남자 축구 선수들이 참가하며 초창기에는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FIFA W...
김도현 / 2023-06-19 / 676호 / 조회수:204
기사 간단목록
(전체 29건)
[이의린] 2023-06-19
676호 네컷만화
[ ] 2023-06-19
676호 독자퀴즈
[ ] 2023-06-19
676호 궁금해요
[최윤지] 2023-06-19
리제 마이트너가 걸은 진정한 과학의 길
[심재민] 2023-06-19
현대판 조리돌림과 멍석말이
[ ] 2023-06-19
오염수 방류, 과학적 합리성에 바탕을 둔 의사결정 체계를 고민해야
[박세정] 2023-06-19
‘값비싼 새마을호’, KTX
[박세정, 장수연] 2023-06-19
디지털 기술 사회의 이면을 성찰하다
[홍지현] 2023-06-19
“AI의 창작물을 반대합니다”, AI 보이콧
[최윤지] 2023-06-19
피의자 신상 공개제도의 딜레마
[남건우] 2023-06-19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새로운 우주 시대를 열다
[임재민] 2023-06-19
인어공주, 재탄생의 향연
[오경은, 서나연] 2023-06-19
일본 문화, 한국 곳곳을 흔들다
[김시현] 2023-06-19
모두의 편의를 위해 필요한 질서
[김도현] 2023-06-19
대한민국 U-20 대표팀 2연속 4강 진출
맨앞 페이지
이전 페이지
1
2
다음 페이지
맨뒤 페이지
주요인기뉴스
대학가, 비상계엄 선포에 분노… 퇴진 요구 목소리 높여
원-달러 환율 1,500원 넘나… 경제·관광 위기 촉발
노원 유나이티드, 주민들과 함께 그리는 K리그의 꿈
창업의 시작과 성장, 송준 대표가 들려주는 아이러브클럽 이야기
노원구 눈썰매장
네컷만화
독자퀴즈
호두까기 인형과 함께한 연말
학보사가 내게 알려준 것
진실이 불타는 온도,화씨911
노원구 눈썰매장
대통령 탄핵의 정의와 역사
"성평등, 우리가 원하는 세상은 어떤 모습인가?"
신문사 소개
l
창작상
l
방송국 홈페이지
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l
개인정보처리방침
l
이메일무단수집거부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김동환 I 편집장: 김민수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