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3호 최종편집 : 2023.12.4 월 00:00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호별기사
l
로그인
전체메뉴
HOME
|
창작상
|
대표 홈페이지
예술상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페이스북
구독신청
설문조사
기사제보
칼럼투고
신문사소개
l
공지사항
l
PDF서비스
l
영문PDF
l
호별기사
l
LOGIN
예술상
보도
기획
시사
문화
인터뷰
취업
광장
오피니언
전체
기사 상세목록
(전체 37건)
축제가 선정적…? 누굴 위한 축제인가
권은비 무대 의상 논란, 개성과 선정성의 미묘한 경계 최근 워터밤 여신으로 떠오른 권은비를 향한 관심이 높아졌다. 워터밤 이후 섹시 아이콘이 된 가수 권은비를...
임재민 / 2023-10-16 / 681호 / 조회수:126
R&D 연구개발 미래 먹거리인가 나눠 먹기인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지난 3월, ‘제1차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에서 ‘과학기술 5대 강국’ 도약 목표를 발표했다. 5년간 과학기술 연구개발(...
김시현 / 2023-10-16 / 681호 / 조회수:97
차이를 인정하자, 예스키즈존
차이를 인정하자, 예스키즈존 ▲맥도날드 과기대점 입구의 예스키즈존 마크 최근 소셜 플랫폼을 통해 여행지 인근 유명 카페나 음식점을 검색하다 보면 “저희 매장은 노키즈(NO KIDS)존으로 운영되니 양해 부탁드립니다”라는 문구를 자주 접할 수 있다. 이런 노키즈존은 노키즈존으로 운영되는 매장을 모아 만든 ...
오경은 / 2022-10-17 / 665호 / 조회수:340
문해력 저하의 이유
‘심심’한 사과가 불러온 문해력 논란 지난 10월 9일(일)은 훈민정음을 창제해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인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한글날이었다. 이 한글 창제 덕분에 우리는 현저히 낮은 문맹률을 자랑하고 있으며, 국민 대부분이 글을 읽고 쓸 수 있다. 그러나 요즘 실제로 글을 읽고 이해하는...
이가연 / 2022-10-17 / 665호 / 조회수:1368
딱 월급만큼만 일할래…조용한 사직
딱 월급만큼만 일할래…조용한 사직 코로나-19 유행 이후, ‘조용한 사직(quiet quitting)’이라는 신조어가 최근 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특히 미국 직장인들 사이에서 나타난 이것은 직역하면 ‘직장을 그만둔다’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ls...
노승환 / 2022-10-17 / 665호 / 조회수:239
한솥밥 먹는 우리, 가족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한솥밥 먹는 우리, 가족이라고 할 수 있을까? 식구(食口)의 사전적 의미는 ‘한 집에서 살면서 끼니를 같이 하는 사람’이다. 가족의 영단어인 ‘family’의 어원은 한 집안에서 생활하는 모든 구성원을 의미하는 라틴어 ‘파밀리아(familia)’에서 비롯됐다....
김태연 / 2022-10-17 / 665호 / 조회수:209
비의료인의 타투 시술, 합법화의 벽 넘을 수 있을까
비의료인의 타투 시술, 합법화의 벽 넘을 수 있을까 ▲문신 시술이 진행되는 모습 최근 헌법재판소(이하 헌재)가 타투 시술에 관한 현행 의료법에 합헌 판결을 내렸다. 대한문신사중앙회 등의 타투 관련 단체는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 금지 관련 의료법 27조 1항 및 보건범죄 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5조 1호에 대해 “...
김태연 / 2022-04-25 / 658호 / 조회수:519
잘못해도 처벌받지 않는 소년들
잘못해도 처벌받지 않는 소년들 최근 소년범을 다룬 넷플릭스 드라마 <소년심판>이 인기를 끌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역시 만 14세인 촉법소년 기준을 12세로 낮추겠다고 공약함에 따라 소년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소년법은 무엇이고 어떤 면에서 논쟁이 있는지 알아보자. 소년법이란? ...
노승환 / 2022-04-25 / 658호 / 조회수:652
대마초, 산업적 가치를 찾아
대마초, 산업적 가치를 찾아 ▲대마의 아종 중 하나인 ‘삼’ 역사 속의 대마초 대마초는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재래종으로, 기원전 700년 중국에서 약으로 사용한 기록이 있다. 이어 19세기 아시아와의 교역을 통해 유럽과 아메리카에 진출하면서 진통제로 사용됐다는 기록이 있다. 본격적...
박수겸 / 2022-03-21 / 657호 / 조회수:448
#No_war_in_Ukraine,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No_war_in_Ukraine,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지난 2월 말부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과거 소련의 영토에 속했으며 러시아 서쪽에 붙어 있는 나라로, 약 4천 3백만 명의 인구를 가진 동유럽 국가다. 러시아는 무슨 이유로 우크라이나를 침...
김계완 / 2022-03-21 / 657호 / 조회수:442
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으로 재탄생
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으로 재탄생 ▲ 재활용에 동참하기 위해 페트병을 모아둔 모습 국내 재활용 시장의 동향 환경의 중요성과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재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커졌다. 이 중 플라스틱은 우리의 삶과 경제 활동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또한 대체하기 어려워 재활용의 중요...
이가연 / 2022-03-21 / 657호 / 조회수:321
지역인재 할당제 시행 20년, 무엇이 문제인가?
지역인재 할당제 시행 20년, 무엇이 문제인가? ▲ 위: 연도별 지역인재 채용 비율 & 지역인재 채용 의무 비율 , 아래: 우리나라 전체 인구 대비 수도권 인구 비중 우리나라의 경제개발이 급속도로 이뤄지던 1960년대 이래로 21세기에 접어들고도 20년이 넘게 지난 현재까지도, 이촌 향도 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서...
박수겸 / 2022-03-10 / 656호 / 조회수:3148
코로나-19에 한 번, 차별에 두 번 우는 완치자
코로나-19에 한 번, 차별에 두 번 우는 완치자 ▲ 코로나-19 완치자가 발급 가능한 완치 증명 서류 코로나-19 완치자 수의 증가 코로나-19가 여전히 지속하는 가운데 누적 확진자 수가 400만명에 달하며, 여전히 위세를 떨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코로나-19에 확진된 후 격리 ...
이가연 / 2022-03-10 / 656호 / 조회수:208
문화공정, 어떤 시각으로 바라봐야할까?
문화공정, 어떤 시각으로 바라봐야할까? 지난 2월 4일(금)부터 2월 20일(일)까지 베이징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렸다.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고통받고 있을 때 열린 평화의 올림픽으로서 ‘함께할 때 강해진다’라는 문구가 주제가 됐다. 그러나 중국의 올림픽 개회 식전행사 영상과 개막...
오경은 / 2022-03-10 / 656호 / 조회수:219
한국 산업계를 덮친 공급망 쇼크
한국 산업계를 덮친 공급망 쇼크 원자재 공급망 위기의 확산 최근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으로 인한 요소수 품귀 현상이 발생하면서 물류 대란 가능성이 제기됐다. 오염물질 저감장치(SCR)를 의무 장착해야 하는 대부분의 경유차는 디젤 엔진에서 나오는 발암물질인 질소산화물(NOx)을 깨끗한 물과 질소로 바꿔주는 요소수를 꼭 필요로 한다. 요소수...
백재완, 구의림 / 2021-12-05 / 653호 / 조회수:518
기사 간단목록
(전체 37건)
[임재민] 2023-10-16
축제가 선정적…? 누굴 위한 축제인가
[김시현] 2023-10-16
R&D 연구개발 미래 먹거리인가 나눠 먹기인가
[ 오경은] 2022-10-17
차이를 인정하자, 예스키즈존
[이가연] 2022-10-17
문해력 저하의 이유
[노승환] 2022-10-17
딱 월급만큼만 일할래…조용한 사직
[ 김태연] 2022-10-17
한솥밥 먹는 우리, 가족이라고 할 수 있을까?
[김태연] 2022-04-25
비의료인의 타투 시술, 합법화의 벽 넘을 수 있을까
[노승환] 2022-04-25
잘못해도 처벌받지 않는 소년들
[박수겸] 2022-03-21
대마초, 산업적 가치를 찾아
[김계완] 2022-03-21
#No_war_in_Ukraine, 우크라이나에 평화를
[이가연] 2022-03-21
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으로 재탄생
[박수겸] 2022-03-10
지역인재 할당제 시행 20년, 무엇이 문제인가?
[이가연] 2022-03-10
코로나-19에 한 번, 차별에 두 번 우는 완치자
[오경은] 2022-03-10
문화공정, 어떤 시각으로 바라봐야할까?
[백재완, 구의림] 2021-12-05
한국 산업계를 덮친 공급망 쇼크
1
2
3
주요인기뉴스
선거 무산, 선관위와 선본의 이야기를 듣다
제 28회 어의문화예술상
영상_외출(서찬우_전자IT미디어공학과_18101492)
혹시 나도 도파민 중독? ‘숏폼’ 이용 주의해야
‘투표 무산’이 던지는 메시지
이주의 한컷 : 따뜻한 나눔
강세·약세? 평가절상·평가절하? 환율에 관하여
추천도서_『저주토끼』, 정보라
신문사 소개
l
창작상
l
방송국 홈페이지
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홈페이지
l
개인정보처리방침
l
이메일무단수집거부
[01811] 서울시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 최초발행일 1963.11.25 I 발행인: 이동훈 I 편집장: 류제형
Copyright (c) 2016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